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송필환 옮김 / 해냄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엔 <모든 이름들>이라는 원제를 사용치 않고,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라는 제목으로 변경한 탓에 화도 좀 났더랬다. 이 제목 덕택에 <눈먼 자들의 도시>나 <눈뜬 자들의 도시>의 연작과 같은 분위기를 띄고 있었고, 그 인기에 편승하려는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은 그다지 개의치 않는다. 모든 이름이란 곧 아무 이름도 아니라는, 혹은 그 어떤 이름도 중요치 않다는 것을 대변해 보일 수 있어서이다.
 

 이야기는 주인공인 주제씨가 한 번도 만나본 적이 없는 여인의 신상기록부를 우연찮게 손에 넣으면서 시작된다. 단지 이름과 탄생일, 결혼일, 이혼일 등만이 기록된 그것을 보면서, 어떻게 그를 알고 싶다는 열망이 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주제씨가 그런 마음이 들었던 것은 어느 날 갑자기, 혹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질 수는 없다는 것이다. 주제씨가 수십 년 동안 보고 기록했던 그 모든 서류들이 차츰차츰 쌓여, 그의 마음 속에 어떤 열망과 갈망을 들게 만들었으리라.

 

 어쨌거나 주제씨는 그를 찾아 나선다. 비록 찾아 내더라도 서로 마주보고 대화할 용기조차 없는 자신이지만, 그를 찾으려는 다짐을 했던 것이다. 그 다짐은 마침내 주제씨에게 비이성적인 행동까지 강요한다. 무단 침입, 도둑질, 공문서 위조 등 수많은 죄와 거짓말을 만들어 내면서도 임무를 달성하게끔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주제씨는 임무를 달성할 수 없었다. 그 여인을 찾아 내어 확인하기도 전에 죽어버린 탓이다. 주제씨는 그 여인의 무덤을 찾아가지만 청천벽력같은 양치기의 말을 듣는다.

 

- 예를 들어, 여기 이곳에 있는 사람도, 노인은 지팡이로 무덤의 불룩 튀어나온 곳을 두드리며 말했다, 선생이 생각했던 사람이 아니라는 거요. 주제 씨는 그가 서 있는 땅바닥이 흔들리는 느낌이었다. 묘지 번호판의 마지막 돌과, 그의 마지막 확신과, 마침내 찾아낸 그 미지의 여자가 모두 사라져버리는 순간이었다. (251쪽)

 

 불교의 사상 중 하나인 유식무경(有識無境)의 철학이 떠오른다. 우리가 무언가를 보고 느낄 때 인식하는 대상은 사실 존재하지 않고, 인식 활동만 존재한다는 뜻이다. 즉 우리가 무언가를 보았다손 치더라도 그것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존재 자체를 잘못 인식하거나 다르게 인식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모든 것은 우리의 마음가짐에 따른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주제씨는 공(空)한 것을 실재하다고 믿었으나 그것이 공이라는 것을 깨닫는 순간, 미지의 여인이 허물없이 사라져버린 것을 깨달았다. 이미 여인은 숨을 거두었지만 시체가 무덤 아래에 파묻혀 있기에 그것이 바로 그 자리에 존재한다고 믿었던 주제씨는 확신을 잃어 버린다. 도대체 그 여인은 누구인가. 이 세상에 존재했던 것인가. 자신의 허상 속에서만 존재했던 것인가. 중앙호적등기소도 소장도 할머니도 3층의 여자도 모두 자신의 상상일 뿐인가. 혹은 그 자신마저 한 순간 꿈 속에 파묻힌 허망한 존재인가. 이같은 주제씨의 혼란은 삶의 허무로 대치된다.

 

- 그들의 삶이란 항상 똑같아요, 다를 게 없죠, 나타났다가, 얘기하고,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고, 사진사들에게 미소를 짓고, 항상 나타났다 사라지곤 하죠, 우리 모두가 다 그렇죠. (206쪽)

 

 하지만 주제씨는 그 허무를 이겨내려 한다. 그리고 미지의 여인을 실재하게 만들 방법을 찾아 낸다. 여인의 사망일이 적힌 기록부를 찢어 태우고, 사망진단서를 찾아 없애 버리는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기록부를 작성해 그가 아직 존재한다는 증거를 남기려 다짐한다. 이 일만 무사히 완수한다면 그 미지의 여인은 여전히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마음으로 온 힘을 다해 그를 다시 실존하게 할 것이다. 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을 진심으로 존재한다고 믿음으로 해서 그 여인이 이름없는 무덤을 헤치고 벌떡 일어나 돌아오지는 않을 터다. 더군다나 유식무경의 철학에서 가장 경계하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지 않은가. 상식적으로도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한다고 인식한다는 것은 분명 있을 수 없는 일일 테니까.

 

 아니, 다시 생각해 보자. 이 논의를 단지 종교에 기대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다시 말해 불교의 윤회나 기독교의 지옥을 끌어 오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생각해 보아야 한다. 누군가의 존재가 죽음을 맞았다고 해서 존재 자체가 부정될 수 있는가. 혹은 그 존재는 영원히 사라지는 것인가. 그 누군가가 죽음을 맞아도 다른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존재할 수는 없는 것인가. 혹은 주제씨가 새로 작성할 기록부 속에서 여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재구성된다면, 그것은 다만 허상에 지나지 않는 것인가. 그렇다면 이미 타계한 작자들이 쓴 아름다운 작품들은 현재에 존재하지 않는 이들에 의해 쓰인 것이므로 아무런 의미가 없는 허상인가.

 

 물론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없다. 제 아무리 명확한 근거라 확신하며 무언가를 주장한다고 해도 그것이 정답일 수는 없다. 허나 그것들에 아무리 천편일률적이라 하더라도 그것에 답하려는 노력과 의지가 있다면, 분명 해답에 가까이 다가갈 수는 있을 것이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