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블루 - 기억으로 그린 미술관 스케치
김영숙 지음 / 애플북스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기에 앞서 유의해야 할 점이 한가지 있다. 그것은 바로 <파리 블루>가 기존의 여행서적들과는 궤를 달리 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억으로 그린 미술관 스케치'라는 부제에 홀딱 넘어간 독자들에게는 루브르, 오르세, 피카소, 로뎅, 퐁피두 등의 미술관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사진 등을 기대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나 또한 마찬가지여서 이 책이 아쉽게 여겨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책은 여행기라기 보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일기에 가까운 내용이었으며, 미술관에 관련된 내용보다는 파리 거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뜨거운 연인들의 사진과 풍경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여행 정보를 얻고 싶어하는 독자나 미술관 여행을 기대했던 독자들에게는 실망스러울 수 밖에 없으리라. 아마 '기억으로 그린 미술관 스케치'라는 부제라도 없었더라면 이렇게 속은 기분이 들지는 않을텐데, 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하지만 <파리 블루>라는 제목에 대해서는 이 책을 덮으면서, 참으로 잘 지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 김영숙의 유년 시절의 추억이나 부모님에 대한 단상들은 참으로 블루(blue, 우울한)한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로서는 파리 미술관 여행을 하면서 지난 날 자신에 대해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고, 그 우울을 당당히 엮어낸 것이 만족스러웠을 것 같다. 허나 여행에세이가 가진 목적을 찾아 보기 어려울 정도였던 이 책에 대한 실망감은 그를 엿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는 것만으로는 즐거운 기분으로 전환되지 않을 듯 하다.

 

 물론 누구에게나 여행의 목적은 제각기 다를 것이다. 단순히 관광만 즐기려는 사람도 있고, 휴식을 가지려는 사람도 있을 것이며, 연인 혹은 가족과의 새로운 추억을 만들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아마 김영숙은 그 중 휴식을 목적으로 떠났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지만 그는 휴식을 통한 기쁨을 얻기 보다는 과거의 불행만을 떠올리고 있다는 점이 매우 안타깝다. 일상의 답답함에서 벗어나 기분을 전환하고 삶의 활기를 찾기 위한 여행이 아니라, 자학을 위한 여행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대개의 사람들이 행복을 누리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에 반해, 슬픔을 위해, 그것도 슬픔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슬픔에 빠지기 위해 떠난 여행은 그닥 만족스럽게 느껴지지 않는다. 조금 더 감성과 이성이 적절히 조화된 글을 기대한 것이 잘못이었을까.

 

 무엇보다 그는 지나치게 자신을 연민하고, 그것을 즐기는 것으로 보였다. 애닯고 슬픈 감정을 승화시키지 못 하고, 단순히 그 아픔만을 떠올리는 것은 위악으로 보인다. 나에게 있어 위악은 위선 못지 않게 답답한 것이라서, 어쭙잖은 위악에 화가 나고 실망을 했던 것 같기도 하다. 어쩌면 그것은 내 자신의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해 골랐던 이 책에서 행복을 느낄 수 없었기에 더욱 더 큰 실망을 느꼈던 것인지도 모른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하고 싶었고, 그동안 가고 싶었던 미술관들을 사진과 글로나마 느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런 내게 이 책은 짙은 아쉬움을 남겨 주었지만, 여행의 목적과 방향성, 의미 등을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 준 것 같다. 또, 올해 여름엔 꼭 파리로 떠날 것이라고 다짐했던 내게 주춤거릴 시간을 안겨 주었던 것 같기도 하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