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점퍼 1 (보급판 문고본) - 순간 이동
스티븐 굴드 지음, 이은정 옮김 / 까멜레옹(비룡소)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내가 순간 이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면, 무엇을 가장 먼저 할까? 나는 여행을 할 수도 은행을 털 수도 있지만, 지각을 하지 않는 것에나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데이비드와 그리핀은 나보다 더 위험한 시련을 겪었기에 복수를 하고 목숨을 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또한 가족들을 잃고 그 상처를 쓰다 듬으며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이처럼 극한 상황에 엮어 넣기 위해 억지스러운 장면들도 자주 등장한다. SF소설이라기에 잘 짜여진 플롯을 떠올렸으나, 그같은 장면들로 인해 긴박감이 떨어진다. 복선을 찾을래야 찾을 수 없다는 점도 아쉽다.
하지만 이 소설은 SF소설이라고 장르를 한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 다 어린 소년이고, 극한 시련 속에서 자아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한 성장을 시도하기 때문이다. 엄밀히 보면 SF적 요소는 부분적일 뿐이다. 즉 그보다는 성장소설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소설의 우연적인 전개가 용서되기는 어려울 듯 하다. 성장소설에서 주요하게 취급되는 감정이입을 전혀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단순히 문화적 배경이 달라서 그런 것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도 많다. SF소설의 장점도 성장소설의 장점도 살리지 못하고, 어색한 경계에서 뛰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아쉬움이 강하게 남지만, 그래도 <점퍼>는 매력적이다. 이미 순간 이동 능력이 여러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 등에서 다루어져 왔기에 낯선 아이템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아이템이 두 소년들의 활약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은 신선하다. 그들은 마냥 착하지도 않고, 정의를 부르짖지도 않기 때문이다. 아마 그들에게 순간 이동 능력이 없었다면, 그저 평범한 소년으로 남고 말았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누구나 한 번쯤 투명인간이 되거나 순간 이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랐을 것이다. 그들은 대개 평범한 사람들이다. 애초에 인간 병기로 길러 졌다거나 천재적인 두뇌의 소유자라거나 비밀 결사 조직의 회원이라거나 한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데이비드는 그저 자신의 괴로운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강하게 염원하곤 하였던 것이 순간 이동 능력을 가지게 된 것이라며 스스로 추측하였고, 후속작의 그리핀은 어린 시절 우연찮게 자신의 능력을 깨닫게 된 경우다. 그런 의미에서 후속작은 전작의 매력을 조금 감소시킨다. 순간 이동 능력을 스스로 획득한 것이 아니라, 발견한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머리를 잘 쓴다고나 할까. 그래서 후속작보다 전작을 좀 더 높게 사고 싶지만, 이야기 전개에서는 후속작에 좀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어쨌거나 둘은 영웅이 되어서는 안 된다.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달려 가는 영웅보다는 평범한 소년인 채로 남는 편이 훨씬 더 매력적일 것이다. 그래서 영화 <점퍼>를 그리 보고 싶지는 않다. 평범한 소년의 면모보다는 영웅적인 면모가 좀 더 강조될 것 같아서이다. 또한 순간 이동을 하는 장면은 분명 흥미로운 영상을 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기대가 되지만, 원작에서도 부족한 감정 처리나 극적 전개가 잘 처리되었을 것 같지 않다. 하지만 단순히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이 책을 집어 들었다면, 나쁜 선택은 아닐 듯 하다. 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