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구한 13인의 경제학자들 - 18세기 조선경제학자들의 부국론
한정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책을 펼쳐 차례를 보니 친근한 이름은 다수 있는데, 이 모두가 경제학자인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들었다. 김육이나 박제가, 박지원 정도를 제외하면 경제학자라는 제목에 발끝도 못 붙일 철학자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허나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수긍이 간다. 또 박제가, 박지원, 정약용 등 몇몇 유명 조선학자들의 책을 읽어 본 적은 있으나 몰랐던 이들도 많았고, 그들의 업적이나 사상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했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이렇게 많은 경제학자들이 여러 이론을 제시하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사는 우리가 그것을 경제학으로 인식조차 하고 있지 못 했다니 부끄럽기 짝이 없어졌다.

 

 특히 가장 놀라웠던 것은 <택리지>의 이중환이나 <토정비결>의 이지함 등을 경제학자라 칭한 것이었다. 사실 그들에 대해서 떠오르는 것이라고는 지도와 풍수지리 뿐이었는데, 그것이 경제학의 한 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는 점을 몰랐기 때문이다. 

 

 <택리지>는 이미 대개가 명당을 찾는 풍수지리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하지 않던가. 그런데 실은 이 책이 우리나라의 지리적 조건 및 환경과 경제 간의 상호관련성에 대해 서술한 경제지리서였다니. 내가 국사교과서를 잘못 이해한 것이었는지, 국사교과서에 잘못 기재된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이 점은 보완해야 하는 것 아닐까. 선생님들에게 <택리지>가 경제지리서라는 얘기는 정말이지 들어 본 기억이 없는 것을 보면 말이다.

 

 또 이지함이 최초 양반 사대부 출신의 상인이었다니. 더군다나 이지함은 현대와 비슷하게 자원 개발과 인재 등용의 중요성에 대해 매우 깊은 이해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상부상조의 정신까지 더 하니, 오히려 현대 경제인들보다 나을지도 모르겠다.

 

 채제공에 관해 읽을 때에는 얼핏 보았던 드라마 <이산>이 떠올랐다. 얼마 전에 지나가면서 잠깐 본 부분에서 금난전권 철폐를 주장하던 내용이 나왔었는데, 그 시기가 너무 일렀기 때문에 의아해 했던 기억이 난다. 분명 즉위 후, 왕권이 어느정도 인정된 후의 일이었는데……, 하면서 말이다. (물론 드라마가 픽션이라는 건 안다. 이런 말 하면 꼭 지적하는 사람 있더라. 나 바보 아니다-_-) 어쨌거나 금난전권 철폐에 대해서는 그 정도로 미약하게나마 알고 있었던 것이었는데, 채제공이 그것에 얼마나 관여했는지는 미처 몰랐었던 것 같다. 그래서 저자 한정주가 조선 후기 최고 재상이 채제공이라 칭했구나, 라며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끄덕.

 

 또 생소했던 이름들 중 하나인 유수원에 대해서는 그의 가문이 몰락한 후, 복원되지 않아서라는 한정주의 의견에 공감이 간다. 기축옥사에서도 정도전의 철학을 계승했다는 의심만으로 수많은 인재들이 죽어나가지 않았던가. 아무렴 이렇게나마 알게 된 유수원이 270여년 앞서 맬서스의 <인구론>을 비판했었다니 매우 놀랍다. 더불어 이렇게 발전한 우리의 경제학이 식민지를 거쳐 오며, 제고되지 못하고 모조리 저평가되었다는 사실이 너무나 안타까워졌다.

 

 그리고 정말 흥미진진하게 읽은 책이지만, 책 구성에 대한 안타까움 몇 가지. 각 학자들을 시간순으로 놓는 것이 책을 이해하는 데 훨씬 도움을 줄 것 같다는 점, 머릿말 바로 뒤를 차지한 '가상좌담'을 책의 가장 뒤로 재배치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점이다.

 

 어쨌거나 저자 한정주의 바람처럼, 이 책이 그동안 잊혀졌던 조선의 경제학을 다시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