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도 - 사이코 북스 05
로저 케네디 지음, 강신옥 옮김 / 이제이북스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리비도는 프로이트의 정신성욕 이론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다. 로저 케네디의 <리비도>에서는 프로이트 이론의 초기 입장에 서서 리비도를 보고 있다. 먼저 리비도의 개념을 설명하고, 그의 초기 이론 관점에서 보며, 인생 단계에서 나타나는 리비도의 발달 등을 설명하고 있다.

 

 프로이트 이전까지는 성욕이라는 것이 청소년기, 즉 사춘기에 갑자기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그의 소아성욕설이 등장한 후 많은 부분에서 인식이 바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와 관련하여 소아 성욕 발달 단계에 관해서는 '성격 발달 단계', '심리 성적 발달 단계' '성격 발달 5단계'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는데, 이것의 개념에 대해서는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익히 들어본 것일 테다. '구강기 > 항문기 > 남근기 > 잠복기 > 생식기'라는 이 5단계의 발달 속에서 소아는 심리적, 성적, 성격적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 단계적 발달에서 어느 한 단계에 지나친 만족감을 갖거나 부족함을 느끼게 되면 발달 장애가 일어난다고 보는 것이 프로이트의 심리 성적 발달 이론이다.

 

 로저 케네디는 이와 반대되는 개념인 대상관계 이론에 대해서도 잠깐 소개한다. 대상관계 이론은 프로이트 이론이 개인의 내면세계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을 넘어, 주체와 그 환경 간의 관계, 특히 어머니와 유아간의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론이다. 대상관계 이론은 내면세계를 벗어나 외면세계에 초점을 맞추면서, 정신분석학의 범위를 더 넓혀 나갔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이 이론에서는 성욕이 차지했던 영역을 제치고 더 높은 지지를 얻어 내었다.  현대 정신분석학 안에서는 더이상 리비도를 가장 바른 개념으로 여기고 있지 않다. 하지만 그 역시 기본적으로 리비도라는 개념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프로이트의 심리 성적 발달단계에서 리비도는 매우 중요한 개념인데, 각 발달 단계에서 오는 심리 성적 에너지를 리비도라 칭한다. 책에서는 이것을 신경증, 정신증, 성도착증, 나르시시즘 등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 발달 5단계를 적절히 넘기지 못한 소아들은 어느 한 부분에 고착하게 되어 그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성인이 되어서도 문제 상태를 겪게 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정신적 장애라 할 수 있다. 특히 발달 단계 도중 금욕, 즉 리비도의 억누름은 정신적 장애나 공황 상태를 더욱 더 심한 지경에 이르게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한 부분뿐만 아니라 각 발달 단계에서 부분적인 충동들이 모여 정신적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런 변형된 회로는, 그렇지 않아도 복잡한 그의 이론을 더욱 더 난항에 빠뜨리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나와 같은 일반 독자에게만 해당하는 것일뿐, 프로이트는 물론 로저 케네디는 그것을 능숙하게 풀어낸다.

 

 케네디는 마지막으로, 리비도적 문명이 다가올 것을 예견하며 이 책을 덮는다. 억압적인 문명이 해체하고 리비도적 문명이 오게 되면, 쾌락과 즐거움을 추구할 시간이 더 많이 찾아올 것이며, 소외된 노동자를 없애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지금의 시장 문화에서는 이런 리비도적 문명이 유토피아에 불과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를 것이라 하기도 한다. 나로서는 로저 케네디가 말하는 리비도적 문명이라는 것에 완전한 동감은 할 수 없으며, 프로이트의 남성 중심적인 심리 이론에도 어느 정도 거리를 두려 노력하고 있었기에, 책에 완전히 동화되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의 목적인 프로이트 이론이 갖고 있는 핵심과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다가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