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머니
이시다 이라 지음, 오유리 옮김 / 토파즈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종영한 드라마 <쩐의 전쟁>과 비슷한 내용이라는 것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건 해도 너무하다 싶다. 백수인 청년이 재야의 고수에게 발탁되어 돈 굴리는 법을 익히고, 돈을 융통하는 과정에서 시험을 당하고, 결국 사부의 비법을 모조리 전수받는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다는 등 줄거리면에서 굉장히 비슷한 면모를 갖고 있다. 드라마뿐 아니라 TV 자체를 즐기지 않는 나로서는 우연찮게 <쩐의 전쟁>의 첫 편과 마지막 편만을 보게 되었는데도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던 것이 참 안타깝다. 배금주의에 따끔한 일침을 놓는다거나 주인공이 죽는다 등의 차이점을 열거해 다르다는 점을 들 수는 있겠지만, 답답한 것은 어쩔 수 없다.

 

 어쨌든 그런 것들을 다 제쳐놓고, 이 책이 그럭저럭 볼 만했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지만 다소 드라마의 영상미가 더 어울릴 것 같은 아쉬움이 남는다. 더불어 책의 구성은 단적으로 싱겁기 짝이 없지만, 주인공 시라토의 말처럼 손해 본 느낌은 들지 않아 다행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시작은 드라마 <쩐의 전쟁>과 흡사하다. 청춘을 탕진하던 백수 시라토가 고즈카의 손에 걸려, 동기들보다 높은 월급을 받으면서 그의 일을 돕기 시작한다. 고즈카는 나름대로 가슴 아픈 사연을 지니고 돈만 믿으며 성장한 인물인데, 실은 사랑했던 여자가 있었다. 그 여자는 변액보험의 피해자로, 사건이 터진 후에 정신을 놓아 버리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처럼  버블경제 이후 변액보험의 피해자들이 속속들이 증가하며, 고즈카가 그에 복수하기 위해 가을 빅딜을 준비한다. 이후, 고즈카가 당했던 비극은 시라토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 고즈카 노인이 그를 속인 것이다.

 

 이시다 이라가 나름대로 준비한 반전이 있기는 하지만, 그닥 놀랍지도 않을 뿐더러 사건의 굴곡은 지나치게 완만해서 독자를 데면데면하도록 만든다. 우중충하고 밋밋한 분위기도 변하지 않는다. 허나 이러한 시선은 돈으로 무장하고, 그것을 떠받는 사회의 비정함에 대해 더욱 강조하게 만드는 면이 있다.

 

 중소 기업의 사장이나 입을 법한 정장을 아무렇지 않게 걸치고, 먼저 입사한 동기들보다 높은 월급을 아무렇지 않게 여기며, 마켓의 파도 속에 난무하는 숫자와 그래프를 줄줄 외고 다니는 시라토의 모습은 실로 멀게만 보인다. 이같은 괴리는 점차 무뎌지고 있지만, 그 답답한 현실의 숨막히는 뒤쫓김은 잊어서는 안되지 않을까. 이시다 이라가 사회가 고하고 싶은 말은 바로 그것일테다. 다만 이 사회가 종언하기 전에 현실의 비극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부터 인지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아직 늦지 않았다. 스타트! 이제 시작이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