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신.시골의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
프란츠 카프카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검색하다가 카프카를 두고 독일의 '이상'이라고 칭한 댓글을 보았다. 아, 그런가. 그제서야 문득 이 기묘한 느낌의 정체가 무엇이었는지 어렴풋이 깨닫는다. 책장을 넘기면 넘길수록 난해한 문장의 연속이다. 문득 내가 초등학생일 때 카프카의 <성>을  읽고 나서 화를 내면서 도서관에 반납하러 갔던 기억이 난다. 지금에 와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을 더 어린 시절의 내가 이해할 수 있었겠어, 라며 변명한다. 그리고 칭찬 한마디도 해줘야 겠다. 나 참 용감했구나, 라고.

 

 이 책을 읽는 동안의 나를 누군가 봤다면, 아마 정신 나간 사람으로 오해했을지도 모르겠다. 금세 눈물을 그렁거린다 싶으면, 이번에는 화를 내고, 다음에는 비식거리며 웃다가, 끝내는 인상을 쓰고, 음울한 눈으로 책장을 덮는다. 이처럼 단시간내에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책이었던 것이다.

 

 「변신」의 그레고르가 어느 날 아침 갑자기 벌레로 변해버린 후 끝내 사체가 되고 말았을 때, 나도 모르게 울컥 눈물을 쏟을 뻔 했다. 소통의 단절과 그 속에서 오는 고독, 역겨울 정도로 쉰 내 나는 타인의 눈초리와 비난 속에서도 가정을 걱정하고 가족을 변명했던 그의 착각 속에 진절머리가 났다. 그레고르가 죽고 나서야 평화로워진 잠자씨 가정은 끝까지 안온할 수 있을까. 사실 고백하건대, 벌레에 한센병을 자꾸 대입하게 되어서 그들의 가정사가 더 서러웠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한센병뿐 아니라 인간들이 모두 두려워하거나 더럽게 여기거나 업신 여기는 그 모든 것을 대입해 보아도 좋겠다. 그러나 오해마라. 내가 지금 역겹게 생각하는 것은 가족들이 아니다. 물론 그레고르도 아니다. 그렇게 만든 현실이다. 원천적으로 봉쇄당한 현실.

 

 이처럼 현실의 부조리는 「판결」이나 「시골의사」 「학술원에의 보고」 「굴」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늙은 아버지가 익사형이라 판결을 내리자 그 명령에 따라 자살해 버리는 아들, 야간 비상종 덕분에 한시도 쉴 새 없이 모든 것을 억압당한 채 혹한 속에 맨몸으로 내쳐진 시골의사, 옭아맨 현실 속에서 좋을대로 정의내린 자유에 속박당하는 원숭이, 평생을 굴 파는 것에 소모하며 출구를 찾는 짐승 한마리. 그들이 걸어온 길은 하나같이 억압되어 있다.

 

 엄격한 가정에서 태어나 아버지에 대한 피해의식을 갖고 있다는 카프카. 그 탓인지 그가 쓴 글들은 대체로 억압에 대해 말하고 있는 듯 하다. 이상한 것은 그의 글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과 행동이다. 규칙과 법 등도 포함한 그 억압을 당하는 이들은 하나같이 그것을 받아 들이고 순종한다. 두렵기 때문이다. 규칙을 어기고 억압에 반항했을 때 쏟아질 비난과 고독이 두려워 스스로를 가두는 것이다. 실존에 대한 문제 의식은 그런 식으로 곳곳에서 드러난다. 개인의 존재에 대한 인정, 타인과 맞설 수 밖에 없는 개별 존재에 대한 사유는 늘 고독하다. 그 개인의 결정은 언제나 스스로 정하는 것이어야 하지만, 그럴 수 없는 현실에 맞서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부조리에 대응하지 못하고 순응하고 마는 현실이야말로 카프카가 우려하던 세계가 아닌가. 이런 의구심을 못내 지우기가 어렵다.

 

 그가 토로하는 비애는 언제나 무겁고 격렬하지만 내부의 것으로 침잠되기만 하기에 씁쓸하기 짝이 없다. 어째서 개인은 다수에 따라가야 하는가. 억압에 반항하는 것은 무의미한 행위로 치부되어야 하는가. 법 앞에 만인이 평등하다는 진리는 어째서 거짓이 될 수밖에 없는가. 공동의 관심사와 공동의 선, 공동의 사상 등에 동조해야 하는가. 개인을 인정하지 않는 사회는 무섭다. 진실로, 소수를 외면하는 다수는 언제나 옳은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허나 누구도 정답을 말할 수 없는 문제다. 그것이 못내 서글프다. 나는 누구를 위한 존재인가.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