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으로 올바른 베드타임 스토리
제임스 핀 가너 지음, 김석희 옮김 / 실천문학사 / 1996년 7월
평점 :
절판




 적당한 예는 아닐지 모르겠지만, 최근 탐독한 은희경의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에서 「날씨와 생활」이라는 단편을 보면 좀 황당한 인물이 나온다. 황당하다고는 하지만 있을 법한 이야기이기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동화 속에 빠져 왕자님이 자신을 성으로 데려 가거나 막대한 유산을 받게 해줄 진짜 가족을 만날 것이라고 꿈꾸는 소녀B가 그 주인공이다. 그렇게 되면 어차피 살던 곳을 떠날 것이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구에게 정을 붙이지 않고 홀로 동화에만 빠져 있는 것이다.
 

 <세라 이야기>나 <세드릭 이야기>, <신데렐라>적인 이러한 사고는 어린이라 할지라도 길러 주어서는 안되는 것이 아닐까. 이런 생각을 커가면서야 비로소 하게 되었다. 하지만 각 방송사마다 이러한 사고방식에 입각한 드라마는 끊임없이 생산되고, 소비된다. 동화는 물론 좋은 것이지만 이런 의존적인 사고는 분명 문제가 있다. 제임스 핀 가너는 이것을 바로 잡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정치적으로 올바른 베드타임 스토리>를 써낸 것이다. 차별과 편견을 없애기 위해 PC동화집을 써내었다고 말하는 그는 '마이너리티에게 경의를!' 표하고 있다.

 

 '정치적으로 올바른'은 '다원문화적인'과도 일맥상통한다. 동화 속에 숨겨진 남성중심적, 백인중심적, 부르주아중심적, 유럽중심적인 사고방식, 다시 말해 종차별적, 성차별적, 인종차별적, 계급차별적, 문화차별적 편견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독자들이 이러한 차별과 편견에서 해방되길 바라는 마음에 동화를 각색했다. 물론 이것은 어린이의 '베드타임'에 바로 들려주기에는 무리가 있다. 동화적 상상력의 저해에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각 단어에 대한 이해력이나 배경지식이 모자라는 탓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헛된 것은 아니다. 적어도 나같은 성인에게 차별과 편견에 대한 옳고 그름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고 있으며, 이것을 어린이에게 설명해 줄 수 있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보면, 책 속의 문장들은 말장난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PC(Politically correct) 표현에 중점을 두고 있어, 애매한 문장을 피하는 것 뿐만 아니라 굳이 설명하려 들기 때문이다. 이것은 꽤 해학적이며, 웃음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코미디이다. 허나, 이 해학을 단순한 소극(笑劇)으로만 이해하면 곤란하다. 의표를 찌르는 풍자적 해학이라는 것을 충분히 주지해야 할 것이다.

 

- 모두 제 마누라 탓입니다. 마누라가 임신했는데, 마님의 싱싱한 상추를 먹고 싶어서 못견디겠다지 뭡니까. 제발 저를 용서해주십시오. 물론 결손 가정도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제가 죽으면 앞으로 태어날 제 아이는 안정된 구존(具存) 가정에서 자랄 수 없게 됩니다. 그러니 제발 저를 죽이지 마세요. 제 아이한테서 안정된 가족 구성을 빼앗지 말아 주세요. (「라푼첼」, 52쪽)

 

 마녀의 밭에 심겨진 상추를 도둑질하다가 들킨 땜장이는 이렇게 하소연한다. 또 라푼첼의 머리카락을 타고 몰래 올라가 그를 만난 왕자는 라푼첼을 자본주의체계의 흐름에 편입시키려 한다. 갑자기 등장한 마녀가 왕자를 죽이려 들지만, 왕자는 마녀에게 매니저 직을 줄테니 라푼첼의 노래를 팔자며 꼬인다. 마녀가 이에 넘어가자, 화가 난 라푼첼은 그들이 대화를 나누는 도중 몰래 성을 탈출해서 도시로 간다.

 

- 그후 그녀는 '음악의 무료 보급을 위한 기금'이라는 비영리재단을 설립하고, 머리카락을 잘라서 기금 모금을 위한 경매에 내놓았습니다. 그녀는 평생 동안 카페와 갤러리에서 무보수로 노래를 불렀고, 그녀의 노래를 듣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이용하여 돈을 버는 짓은 단호히 거부했습니다.  (「라푼첼」, 60쪽)

 

 PC동화 라푼첼은 이렇게 끝을 맺는다. 자본주의에 대한 맹렬한 일갈을 퍼붓는 것이다.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다른 이야기들도 이런 식으로 풀어 나간다. 가너는 이 책이 다른 작가들의 올바른 상상력에 자극제가 되고, 또한 우리 아이들에게 잊을 수 없는 감동으로 남기를 바란다고 말하고 있다. 허나 빠뜨린 것이 하나 있다. 이 책은 분명 작가뿐만 아니라 독자에게도 좋은 자극제가 되리라.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