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캐러멜! 중학년을 위한 한뼘도서관 3
곤살로 모우레 지음, 배상희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 캐러멜!>은 사하라위족의 농아 소년 코리와 숫낙타의 캐러멜의 우정에 관한 이야기다. 선천성 농아인 코리는 말을 배우기 이전에 귀머거리였고, 따라서 벙어리이기도 하다. 그런 코리에게는 친구도 없고, 또래 아이들에게 놀림받는다. 때로는 돌팔매질도 당하지만, 코리는 캐러멜을 만나 그런 시름은 모두 잊는다. 캐러멜의 엄마낙타는 아무리 말을 붙여도 알아 듣지 못했지만, 이상하게도 막 태어난 캐러멜은 자신의 말을 알아 듣는다고 생각했다. 더불어 코리에게 말을 할 수도 있었던 것이다. 코리는 아무것도 듣지 못했지만, 입모양을 통해 자신의 이름도 알았기에 캐러멜의 말도 알 수 있었다.

 

 몇가지 손짓을 제외하면 가족과의 의사소통도 어려웠던 코리는 완전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캐러멜과 친구가 될 수 있었다. 캐러멜에게 캐러멜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던 그 순간부터.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엇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위는 김춘수의 시, <꽃>의 전문이다. 어린 숫낙타에게 캐러멜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는 순간, 그는 코리의 캐러멜이 되었다. 마음의 열고, 누군가에게 잊혀지지 않는 어떤 것이 되고 싶었던 마음을 열고, 서로의 어깨에 기댈 수 있었던 것이다. 인간뿐 아니라 모든 것의 관계는 그 열린 마음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닐까.

 

 배고픈 주민들에게 캐러멜을 제물로 바쳐야 했을 때, 코리는 그것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결국 캐러멜은 아흐메드 삼촌과 점잖은 어르신들에게 목을 내놓는다. 코리는 캐러멜의 죽음을 슬퍼 했지만, 캐러멜의 영혼은 부드럽게 그를 끌어 안으며 말한다.

 

내 생명이 꺼진다고

눈물짓지 마.

우리가 함께 산 날을 생각해.

 

난 죽음을 받아들였어.

난 너의 기억을 안고 하늘의 초원으로 가는 거야.

네가 사는 동안

난 항상

너와 함께 있을게.

 

넌 아직 알 수 없지만

네가 밤을 맞으면

너도 그것을

이해할 거야.

 

작은 코리, 내 하나뿐인 친구…….

 

 생명을 영위하기에도 힘든 사막에서 젖이 나오지 않는 숫낙타를 키우는 것이 사치인 것을 알았던 것일까. 캐러멜은 온순하게 죽음을 받아 들였고, 온몸으로 울고 있는 코리를 이해시키려 했다. 캐러멜의 마지막 말을 기억하던 코리는 어느덧 청년이 된다. 모두의 존경을 받는 시인으로, 멋지고 굳센 어른으로.

 

 캐러멜은 이미 죽었지만, 자연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던 코리에게 그것은 이미 슬픈 것이 아니다. 한줌의 고깃덩어리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그의 죽음을 지켰던 코리는 이미 아픔을 받아 들일 준비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비록 이 세상에서 그들의 우정을 더이상 지켜볼 수 없겠지만, 이 동화는 여전히 아름답다. 인간중심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자연을 바라보고, 백인중심적, 부르중심적, 유럽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사하라위족이라는 난민을 그려냈기 때문만은 아니다. 순수한 마음을 깨끗하게 표현해낼 줄 알았던 그들이 고마워서이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