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난새와 떠나는 클래식 여행 2 우리가 아직 몰랐던 세계의 교양 12
금난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중고등학교 음악실로 돌아가 선생님께 클래식 강습이라도 받는 기분이었다. 특히 중학교 음악선생님은 여선생님으로 성악을 전공하셨는데, 친절하지는 않으셨지만 클래식에 대해 조예가 깊으신 분이었다. 비제의 <카르멘>을 비디오로 시청했던 것도 그 무렵이었다. 애니메이션으로 된 것이었는데, 클래식이라고는 어릴 적 아버지의 권유로 들었던 베토벤의 지루한 선율이 다였던 나에게 신선했다. 또 놀라웠다. '와! 이런 세계도 있구나', 하고. 그리고 고등학교때는 모차르트의 <마술피리>를 보았다. 역시나 애니였는데, 조수미의 목소리가 그리도 아름다울 수가 없었다. <밤의 여왕> 아리아는 한동안 교실에서 유행했던 기억이 있다. 이 반 저 반에서 찢어지는 목소리로 흉내내던 친구들 덕분에 소란스러웠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이번에는 금난새라는 유명 지휘자를 음악선생님으로 두게 되었다. 책으로 살짝 만났을 뿐이지만, 반가운 마음을 감출 길이 없다. 1권에는 유명한 작곡가들이 많은데, 2권에는 그보다는 좀 덜 유명한 작곡가들이 포진해 있어 모르던 이야기도 많았다. 게다가 음악이라면 듣고 즐길 수만 있다면 그만이라는 생각에, 작곡가의 생애나 시대적 상황, 작곡하게 된 계기나 얽힌 비화 같은 것은 몰라도 상관없다고 생각했었기에 무지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나와 달리, 금난새는 이렇게 말한다.

 

- "가요나 팝송은 아무런 준비가 필요없는데, 왜 클래식을 즐기려면 준비를 해야 하나요?" 왜냐고요? 클래식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만들어진 음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옷차림이나 머리 모양처럼 음악에도 유행이 있습니다. 가요나 팝송은 우리 시대의 유행음악이므로 현대인의 취향에 맞을 수밖에 없지만, 오래전에, 그것도 역사와 문화적 배경이 전혀 다른 곳에서 만들어진 음악인 클래식을 즐기기 위해서는 '약간의 준비'가 필요한 것입니다. (표지에서 발췌)

 

 또 유행가가 룰 없이도 즐길 수 있는 '공놀이'라면, 클래식은 룰을 알아야 즐길 수 있는 '야구경기'라는 유쾌한 비유도 들먹인다. 그러고 보니 내가 야구를 좋아하지 않았던 이유도 거기에 있었던 것이 아닐까. 야구는 9회말부터 시작이라느니 하는 말을, 나는 그렇게 오랫동안 지루한 것이 끝이라고 재미있겠냐며 맞받아 쳤던 기억이 난다.

 

 요즘들어 더욱 즐기게 된 클래식에 대해 궁금해 하고 있던 차, 내게 온 이 책은 꽤 도움이 된 듯 하다. 어떤 곡에 대한 배경이나 각 작곡가가 지은 곡 중 추천곡을 살며시 권하는 것도 좋다. 허나 무엇보다 내가 무심결에 한쪽으로 치워버린 작곡가들을 알게 되었던 것이 좋았다. 특히나 나는 말러, 라흐마니노프같은 이들을 잘 듣지 않으려 했었는데, 이 기회에 접할 마음이 들었던 것이다. 몰랐던 사실에 눈이 뜨인 것도 물론이다. 특히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같은 명작이 처음에는 그토록 비난받았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스메타나의 불우한 생애나 그의 자전적 음악인 현악사중주 <나의 생애에서>를 접하게 된 계기이기도 했다. 가장 마음에 들면서도 슬펐던 부분은 4악장 후반부에 제1바이올린의 높은 피치였다. 청각 상실과 환청을, 감추지 않고 그대로 표현한 것이라 했다. 그런 점들을 알고 들으니 또 새롭게 다가오는 것이었다.

 

 또, 구소련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현악사중주 8번은 드레스덴 학살 이후 그 현장을 둘러보고 작곡한 것이라 한다. 끔찍한 역사에 대한 사명감에 쓰여졌을 이 곡은 씁쓸함을 자아낼 수밖에 없었다. 이 책이 아니었더라면, 이 음악을 듣지도 못했을지 모른다. 자신의 이름 이니셜인 DSCH를 음계로 삽입했다는 것도 몰랐을 것이다. 이 음악을 들으며, 커트 보네거트의 <제 5도살장>을 읽는 것도 좋은 체험독서가 될 것 같다. 블랙코미디의 정수라 불리는 커트 보네거트이지만, 쇼스타코비치의 곡과 함께 한다면 울어 버릴지도 모르겠다. <제 5도살장>을 읽을 무렵, 이 음악이 없이도 눈물을 글썽거렸지 않던가.

 

 <금난새와 떠다는 클래식 여행 2>는 동시대를 살았던 두 작곡가를 한쌍으로 하여 설명한다. 세기말 낭만주의 음악과 현대음악의 거목들을 살펴 보는 것이 즐거운 여행이 되었음을 부인하지 않겠다. 문학사적으로는 퇴폐적 낭만주의를 즐기지 않지만, 음악사적으로는 또 색다른 느낌이었다. 아직 1권을 읽지 못했으나, 기회가 된다면 반드시 접해야 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