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무신왕기 1 - 부여왕 대소를 제거하라
김상현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김상현은 이 책을 두고, '역사에 방점이 찍힌 역사 소설'이 아닌 '소설에 방점이 찍힌 역사 소설'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대중문학을 추구하는 자신은 재미에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옳은 말이다. 역사적 사실보다 소설적 사실에 더 비중을 두었고, 따라서 재미가 쏠쏠하다. '역사 소설'이라는 단어에서 소설에 방점을, 그것도 거성(聲)을 찍어 주고 싶다. 가장 센소리라는 뜻처럼, 그가 강하게 주장하는 바이기도 하고 동감하는 바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 '재미'에는 상성(上聲)을 찍어 주고 싶다.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라는 뜻의 상성처럼, 전개될수록 점점 더 흥미진진해진다는 말이다.

 

 먼저 말하고 싶은 점은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몇 부분만을 가지고 장대한 팩션을 써냈다는 점에서 놀랍다는 것이다. 게다가 과장이 실리거나 신화적인 부분은 현실적으로 삭감하고, 또 이야기가 이어지도록 서사를 덧붙인 점이 만족스럽다. 간간히 던져지는 익살과 해학은 재미를 더해주며, 을두지의 계책이라던가, 자명고라던가, 호동과 낙랑의 이야기라던가, 하는 부분에서 김상현의 재해석력은 실로 재미가 넘친다.

 

 아쉬운 점도 있다. 일단, <대무신왕기>라는 제목을 생각하면 한참이나 의아해진다. 제목에 걸맞지 않게, 초점이 호동 왕자에게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또, 제목을 차치하더라도 호동 왕자를 중심 인물로 내세웠다면, 그의 죽음을 좀 더 긴박하고 사실적이게 만들어야 했다는 점이다. 개인적인 기호일지도 모르지만, 호동이 죽는 장면에서 허탈한 감정을 감출 수가 없었던 것이다.

 

 허나 이런 실점을 감안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잘 짜여져 있는 데다가 작가의 상상력이 기발해 감탄을 금할 수가 없었다. 김상현은 자신의 데뷔작을 낸 직후, '대중적이지 못하다'라는 뼈 아픈 평을 들었던 적이 있다고 한다. <정약용 살인사건>을 아직 접하지 못해, 그것에 대해서는 단언하지 못하겠다. 하지만 <대무신왕기>는 그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리라.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