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절한 정원
미셸 깽 지음, 이인숙 옮김 / 문학세계사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처절한 정원>은 모리스 파퐁의 재판을 지켜보는 광대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50여년이나 숨겼지만, 마침내 한 역사학자의 기나긴 추적으로 법정에 서게 된 그는 10년형의 유죄 선고를 받는다. 겨우 10년으로 나치 정권 하에서 저질렀던 극악한 범죄의 댓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을런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한국의 친일파들을 생각하면, 모리스 파퐁의 재판은 정말 놀랍고도 대단하다. 아직도 친일파들을 처리하지 못한 현실이 안타깝기도 하다.

 

 어쨌든 <처절한 정원>은 그와 관련한 처절한 가족사를 말하고 있다. 광대 복장을 하고 어디든 달려가는 아버지를 미워했던 아들은 삼촌의 고백을 통해 진실을 접하게 된다. 반전이랄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프롤로그의 기사에 등장한 광대가 누군지 알게 되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막장을 달려 갈수록 가슴 한 구석도 먹먹해 졌다.

 

 이 짧은 소설 안에 담겨진 내용은 미처 다 설명할 수 없을만큼 엄청난 것이었다. 역사적 의식과, 사회가 가져야 할 소명, 복잡다단한 가정사, 특히 범죄 속에 깃든 인간성을 포착해내는 능력에 감탄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 액자 형식으로 이루어 졌으며, 나름대로의 해학과 반전으로 잘 버무려져 있어 놀랍다.

 

 무엇보다 <처절한 정원>은 감동 뿐만 아니라, 삶의 아이러니에 대해, 확고한 역사 의식을 갖고 주저하지 않았다. 한 때는 말할 수 없던 것들을 이제라도 말할 수 있게 된 현실에, 우리는 감사해야 할까. 아니면 너무 늦었다고 책망하고 주저 앉아야만 할까.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때, 라는 말이 있다. 절망하지 말자. 우리에게는 청산해야 할 과오가 있고, 그것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잊어선 안 된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