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한 재테크 행복한 가계부 - 행복한 돈 이야기
제윤경 지음 / Tb(티비)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일단 이 책은 돈을 벌게 해주는 책이 아니라는 것을 주지의 사실로 두고 읽어야 할 것이다. 재테크 열풍을 살짝 틀어서 돈이 새지 않도록 도와주는 책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돈에 대한 건전한 관점을 제시한다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돈맹이나 금융맹이 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책에서는 돈맹과 금융맹의 정도, 즉 유형을 제시하고, 자신이 어디에 속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간단한 테스트를 보여준다. 이에 대해 안타까운 점은 유형과 테스트의 배치이다. 테스트를 먼저 하고 유형에 대해 설명을 했더라면 테스트의 정확도가 더 높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각 유형에 대한 장단점을 먼저 제시하고 나니, 부정적인 결과에 속하지 않기 위해 테스트의 설문을 교묘히 피해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적금과 펀드, 보험 등의 설명과 주의할 점을 보여준다.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몇몇 단어들에 대한 이해만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짜여져 있는 점이 돋보인다. 또 설계사와 상담직원에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 그들에게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것, 앞서 말한 돈맹과 금융맹에서 벗어나기 위한 몇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말미에는 부동산 투기에 관한 저자의 생각이 분명히 드러난다. 지나치게 계몽적인 감이 없잖아 있지만, 돈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보여 주어 신뢰성이 느껴지는 부분이다. 집은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곳이라는 말을 동감하지 않을 이가 어디 있을까.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값에 오열을 토하는 서민들의 마음이 절절하다. 여기서 또 한가지 안타까운 점은 책 속에서 계속 지칭되는 '서민'이라는 단어인데, 차라리 상류층 중산층 하류층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책의 내용이 서민, 즉 하류층보다는 중산층을 타겟으로 쓰여져 있기 때문이다. 중산층과 하류층을 한 등속으로 묶어 서민이라고 총칭하기에는 책에서 말하는 서민의 개념이 너무 비좁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실용적인 가정경제 입문서로 보기에는 모자르지 않았으나, 덕분에 이 책을 재테크로 분류하기에는 좀 망설여지는 것이 사실이다. 허나, 어쨌든지 간에 지출과 수입에 대한 금전 관리만은 뚜렷했지만 그 밖의 금융 관련에 대해서는 무지했던 나에게는 꽤 흥미로운 책이었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