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리스 메테를링크의
모리스 마테를링크 지음, 김현영 옮김 / 이너북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테를링크는 벌집을 움직히는 힘이 여왕이 아니라 '벌집의 정신'에서 나왔다고 강조한다. 분봉의 시기를 결정하는 것도, 여왕벌의 질투에 의한 살인을 막느냐 막지 않느냐 하는 것도, 수벌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살인의 시기를 정하는 것도, 심지어 일벌들이 각자 할 일을 토론이라도 한 것처럼 필요한 비율로 나누어 일하는 것도 '벌집의 정신'에 의한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이것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것은 메테를링크가 벌을 대하는 방식이다. 마치 인간을 대하듯 조심스럽고, 살갑게, 애정을 담아 표현하면서도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완벽한 육각형 방이나 한 몸이 되어 행하는 동면에 대해서는 경외감마저 표한다. 

 

 메테를링크는 이 책에서 꿀벌의 양봉과 사육에 관한 논문을 쓸 생각은 없다고, 단호한 투로 시작한다. 따라서, 학계에서도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불가사의한 점에 대해서는 모르겠다고 이실직고한다. 그렇다면 무엇때문에 쓴 것일까. 실용서도 아니고, 입문서도 아니다. 다만 대중에게 꿀벌의 생태에 대해 알릴 따름이다. 아마 곤충의 사회를 통해 인간의 사회를 보려함이 아니었을까.

 

 허나 메테를링크가 감탄해마지 않는 '벌집의 정신'이나, 그토록 칭찬하는 근면성과 성실성은 놀랍지도 긍정적으로 받아 들이게 하지도 않았다. 꿀벌이 모은 양식을 누가 강탈하는지 그들 자신은 모른다는 점을 인간사회에 비유하는 것 또한 의미심장하다기보다 억지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꿀벌의 논문도 아니고, 비유한 소설도 아닌 이 책에서 자연의 사고방식을 인간의 그것과 비교하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단 하나 분명한 것은, 꿀벌들이 자신이 향하는 곳이 어딘지를 알 수 없듯이 인간 또한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허나, 이 불확정성은 꿀벌이나 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물에 한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장황한 비유도, 최고 걸작이라는 신뢰성 없는 수식어도 메테를링크의 글 속에 온전히 녹아들지 못한 점이 안타깝기 그지없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