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 1
송은일 지음 / 문이당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한국적 판타지, 라고 칭해도 좋겠다. <반야>를 읽으면서 내내 그런 느낌이었다. 노론이니 소론이니, 혜경궁 홍씨, 사도세자, 동학의 이념, 홍건적 같은 역사적 사실에서 모티브를 끌어 당긴 느낌은 역력하지만, 이러나 저러나 이것은 분명 판타지, 내지는 무협임에는 틀림이 없다. 주제 넘겠지만, 장르 소설을 천 권도 넘게 읽은 나로서는 그리 단언할 수 밖에 없다. 단, 무협은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면 망한다는 속설이 있기에, 그 점에서는 약간 다르다. 어쨌든 그렇기에 이 책을 [한국소설일반]이라는 분류에 넣은 것은 갸우뚱하다.

 

 각설하고, 일단 이 소설은 흡인력이 좋다. 한 번 읽게 되면, 손을 놓기가 아쉬웠으니까. 하지만 거리낌이 느껴지는 부분은 곳곳에서 등장한다. 특히 시시때때로 일어나는 성애 장면은 낯뜨거운 것은 아닌데,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걸 절실히 느낀다. 시간이 지날수록, '또야?' 이럴 정도이다. 여성의 성적 판타지를 표현한 듯 뜻밖의 장면과 뜻밖의 상황에, 내심 놀라게 된다. 그리고 반야는 은어로 말하자면, 먼치킨이다. (먼치킨이란 <오즈의 마법사>에 나오는 난장이 족의 이름인데, 근래에 들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하여 지나치게 초인적이고 완벽한 소설적 인물을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그가 겪는 시련이나 천민이라는 계급 등은 그의 초인성을 드러내려는 부수적인 요소로 보일 정도이다.

 

 이 소설에서 중요한 것은 반야는 물론이고 사신계라고 할 수 있다. 사신계에서 칠요라는, 매우 높은 위치를 맡게 된 것이 그가 태어나기 전부터 기정사실이었다는 것도 의아하다. 게다가 어릴 때 부터 그를 사모하던 동마로는 마치 사신계를 알리기 위한 부수적인 존재로 보이기도 한다. 반야가 칠요라는 자리에 오른 뒤, 얼마 되지 않아 죽음을 당하게 되기 때문이다. 동마로가 사신계를 등장시키기 위한 복선이었다는 것은 제 아무리 눈치없는 독자라도 금방 눈치챌 수 있으리라. 하지만 그의 죽음 또한 너무 비정상적이다. 유을해가 자살하자 따라 죽는다는 것은, 그가 반야를 사모하는 정에 반하는 행동이 아닌가.

 

 가장 의아한 것은 전생의 업으로 인해, 반야에게 닥친 모든 불행을 당연한 것으로 치부해 버린다는 점이다. 게다가 그에게 다가온 옛 인연은 모두 악연이다. 단 하나의 좋은 인연도 만들지 못한 사람이란 없을진대, 그에 따른 인연은 등장하지 않는다.

 

 지나치게 완벽한 인물과 개연성이 부족한 스토리, 앞 뒤가 맞지 않는 정황 등은 안타깝기 그지 없었다. 한가지 더 짚어 보자면, 동학에서 따온 듯한 사신계의 이념 또한 칠요라는 높은 위치를 차지한 반야 스스로가 어기고 있지 않던가.

 

 분명 각종 아이템은 흥미롭기 짝이 없고, 문체 또한 가독성이 좋아 즐거운 마음으로 읽기에는 손색이 없다. 하지만 개연성이 부족한 플롯과 주제의식의 부재가 안타까운 마음은 지울 수가 없으리라.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