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무엘 베케드 자신도 모른다는 고도, 그것의 정체를 독자가 알 수 있다면 놀라운 일이다. 감히 말하자면 아무래도 신적 존재라는 게 일반적인 의견이 아닐까 싶다. 나 또한 그가 누구인지 짐작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에 디디와 고고가 그토록 기다리는 고도란 그럴만한 대단한 인물인가, 싶다. 어쨌든 한없이 기한을 늦추는 능청스러운 인물인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지나치게 늙어 기억력도 좋지 않은 두 인물은 항상 기다림에 동반되는 지루함과 초조함을 느끼며, 그 전의 일은 싸그리 잊어 버린다. 포조와 럭키, 고도의 전언을 토해내는 소년과의 만남 또한 잊어버리기 십상이다. 하지만 고도를 기다리는 것만은 잊지 않고 반복한다. 도대체 그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을 정도로 답답해 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오지 않을 이를 기다리는 지루함을 어떻게 매일같이 극복해 내는 것일까. 게다가 소년이라는 인물의 등장으로 보아, 고도가 오겠다는 약속을 했다는 것만은 틀림없다.

 

 하지만 그가 정말 어떠한 인물이라고 생각하는 독자들은 생각하지는 않는다. 어쩌면 그것은 신(新)세상일지도 모른다. 더 아름답고 더 나은 세상 말이다. 디디와 고고는 그것을 기다리는 인류 전체를 대표하는 두 인물이며, 소년은 그것이 곧 온다고 말하며 기대를 대표하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한없는 기다림을 언제나 초조해 하면서도 이끌어 내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1막과 2막으로 끝나는 이 극에 3막이 이어지더라도 고도가 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고도가 언제 올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사무엘 베케트가 고도의 정체를 모르듯이 독자 또한 고도의 도착을 알지 못한다. 막막한 기다림은 결국 허무로 대치된다. 또 그렇기에 디디와 고고가 혼돈스러운 세계, 즉 포조와 럭키가 판치는 세상을 참고 넘기며 고도를 기다리게 만드는 것이다. 결국 허무함이 그들을 감싸리라는 것을 짐작하면서도 어쩔 수 없이 반복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은 곧 희망이지만, 허무한 희망이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극이 비극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그들이 희망을 지속하는 한, 언젠가 고도를 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물의 대사 속에서도 드러난다. 특히 디디는 그것을 명확하게 알고 있다. 고고의 기억력은 디디보다 한없이 뒤떨어지기도 하고, 더욱 더 어릿광대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그에 반해 디디는 오락가락하긴 하지만 포조와 럭키의 등장이나 그것이 혼란스러운 세상의 한 일부분이라는 것을 직시하고 있는 인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 이 세상에 고통을 당하는 게 너 하나밖에 없는 줄 알아? 나 같은 건 안중에도 없는 거지. 네가 내 입장이라면 무슨 소릴 할런지 보고 싶구나. 당해 봐야 알 거다.

 

- 하지만 문제는 그런 게 아니야. 문제는 지금 이 자리에서 우리가 뭘 해야 하는가를 따져보는 거란 말이다. 우린 다행히도 그걸 알고 있거든. 이 모든 혼돈 속에서도 단 하나 확실한 게 있지. 그건 고도가 오기를 우린 기다리고 있다는 거야.

 

  그렇다. 그들에게 확실한 것은 혼돈 가운데서 고도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이다. 고도가 과연 오기는 할까, 싶은 의문과 내일도 고도가 오지 않는다면 목을 매어 죽자, 는 그들의 대화 속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이 목을 매어 죽자는 다짐을 아무리 하더라도 그렇지 않으리라는 것은 명백하게 보여진다. 그들은 고도가 도착해야만 해방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우리 또한 그렇지 않은가. 그 어떤 소망과 꿈, 미래를 한없이 그리며 기다린다. 그것은 우리가 미래를 알 수 없는 '인간'이기 때문이며, 또한 그 때문에 존재하는 까닭이다. 나 또한 고도를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막연히 고도를 기다리며 삶은 연명하지는 않겠다. 맞서 싸우든 그가 오는 것을 돕든 생각과 행동을 전제한 기다림을 하겠다는 것이다.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