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몸의 눈을 감기는 주저하면서, 마음의 눈을 감는 것에 대해서는 관대하다. 그것에 대해 눈뜬다면 양심의 가책과 진실의 두려움에 떨 것이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을 볼 수 없다고 해서, 혹은 보지 않는다고 해서 그것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집 앞의 쓰레기가 더러워 그것을 외면하고 쏜살같이 달려 들어간다고 해도 다음 날 집을 나설 때 그것을 누군가 치워놓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외면할수록 쓰레기는 더욱 쌓여 간다. 그것은 진실이지만, 눈을 감고 있을 때는 그것을 알 수가 없다. 그렇다면 오냐, 아예 눈이 멀어 버려라, 하고 백색 질병이 퍼진 것일지도 모른다.

 

 모두가 눈이 멀어버린 가운데, 의사의 아내만이 눈이 멀지 않는다. 눈먼 사람들이 유츄한 것처럼, 그가 선하기 때문에, 혹은 두려움이 없기 때문에 눈이 멀지 않은 것이다, 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독자는 그의 악함을, 그리고 두려움을 이 책 속에서 속속들이 보았다.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그의 살인과 살인의 방치 등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렇기에 '그의 다짐이 그를 지킨 것이 아닐까', 혹은 '적어도 남편에게서 떠나지 않겠다는 다짐이 그를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성자로 이끌어 낸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도록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의 선함과 악함과는 관계가 없다. 그것은 어차피 기준의 잣대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이치에 따라, 혹은 시대의 깨달음에 따라 달라진다.

 

 그가 눈이 멀지 않은 이유는 단 한가지다. 그는 현실을 직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로 눈이 먼 남자의 차를 훔쳤던 남자가 죽고 난 후, 그를 용서하려 하자 의사의 아내가 말했던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 우리는 죽어야 한다는 생각이 너무 두려워서, 늘 죽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용서해 줄 구실을 찾으려고 하죠, 우리 차례가 될 때를 대비해 미리 우리 자신에 대한 용서를 구해놓듯이 말이에요.

 

 죽은 자는 언제나 착한 자다. 무덤 앞에서 고하는 이별사에는 언제나 선행만 가득하다. 간혹 그의 악행이 드러나더라도 그것은 갖은 변명 끝에 어쩔 수 없는 일로 치부되고 만다. 의사의 아내는 그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가장 선한 것은 죽기 전에 그를 용서하는 것이다. 죽고 난 뒤에 그것이 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문장부호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이 글 속에서 독자는 답답함을 느낀다. 하지만 그 답답함보다 더욱 답답한 것은 눈먼 자들이다. 그들의 이기심 때문에, 숨막힐 듯 달려가는 글자들 사이에서 한숨을 쉬는 것으로 쉼표를 대신하는 듯 하다. 기나긴 답답함의 한숨 끝에, 안도의 한숨을 내쉴 즈음 독자는 진실을 마주하게 된다.

 

- 왜 우리가 눈이 멀게 된 거죠. 모르겠어, 언젠가는 알게 되겠지.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응, 알고 싶어. 나는 우리가 눈이 멀었다가 다시 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눈은 멀었지만 본다는 건가.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거죠.

 

 의사의 아내는 마음의 눈이 멀지 않았기 때문에 몸의 눈이 멀지 않았던 것이다. 우리는 눈이 멀었기 때문에, 혹은 눈이 멀지 않았기 때문에 진실을 보지 못한다. 하지만 때때로는 눈이 먼 사람이 훨씬 더 잘 볼 수도 있고, 눈이 멀지 않은 사람이 훨씬 더 못 볼 수도 있다. 우리는 이 당연한 진리를 잊고 산다.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주제 사라마구는 그것을 선명하게 드러 낸다.

 

 눈뜬 자들이여, 보라. 눈이 멀고 싶지 않다면. 霖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