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치기 힘든 공은 치지 않고, 잡기 힘든 공은 잡지 않는다.

 

 자본주의와 프랜차이즈와 세계권력은 이를 용납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한 문장이 시원하고 통쾌하게, 또 장렬하게 그것들에게 일침을 놓는다. 놀라울 따름이다. 아마추어는 이미 숨을 거둔 이 세상에서, 어설픈 프로가 되기를 거부한 이들에게 휘날리는 훈장을 달아준 느낌이다. <카스테라>에서도 말했듯이 이 세상의 일원이 되지 않고도 이 세상을 살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박민규의 소설은 늘 이것을 염두에 두고 쓰여 지는 듯 하다.

 

 아마추어에게 이 세상에서 죽지 않고 살아남은 것은 다행이다. 부유층과 중산층, 그리고 서민층이라는 이름의 거대한 지층 속에 각자가 묻힌 지층에서 오늘도 화석처럼 잠들어 있을 수많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참으로 비참해진다. 그리고 그 비참함은 위대하기까지 하다. 개미처럼 빠득빠득 이를 갈며 이리저리 차선을 바꾸고, 혹은 그 차선만을 달리며 연료가 다 떨어져도 기어 가는 사람들. 말 그대로 그것은 기어가는 것이 아닌가. 때때로 기어 가는 개미들 중 하나가 벌떡 일어나 외치기도 한다. '왜 이렇게 달려야 하지?' 하지만 아무도 듣지 않는다. 혹은 듣게 되어도 무시해 버린다. 무안해진 개미는 다시 엎드려 기어 간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란, 그런 곳이다.

 

 사실 야구라고는 야구의 야자도 모르며, 사구니 안타니 피안타니 하는 것도 모른다. 아는 것이라고는 기껏해야 홈런 정도일까. 그것은 타스포츠도 마찬가지라서, 보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라는 생각이 머릿속에서 계속 맴돌았다. 다 읽고 나서도 1할 2푼 5리가 높은 건지 낮은 건지도 모르겠다. 보통 앞뒷말로 추정이 가능할 법한데, 이건 영 스포츠는 맹맹해서 알 수가 없다. 실은 인터넷 같은 것을 찾고 싶지도 않다. 별로 알고 싶지도 않으니까. 게다가 야구라면 스포츠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종이다. 어쨌든 나는 잘 모르겠다. 내가 어린 시절의 야구는 아버지가 TV 채널을 독점하게 만드는 나쁜 놈이었으니까. 게다가 나는 삼미슈퍼스타즈가 결성은 커녕 해체한 뒤에 태어나지 않았던가.

 

 어쨌든 그 부분은 스리슬쩍 구렁이 담 넘듯이 넘어가도록 하자. 5공이 만들어 낸 '섹스, 스포츠, 스크린', 즉 3S정책 시절의 프로스포츠, 야구. 우민들이 얼마나 열광했을지 상상조차 할 수 없지만, 아마 현재 아이돌 S그룹 팬클럽 정도는 되었겠지, 라고 어설프게 짐작이나 해 볼 따름이다. 게다가 슈퍼맨 로고라니, 생면부지인 나로서도 웃음이 절로 난다. 구단명도 일부러 그렇게 지은 것 마냥 아이러니다. 게다가 말미에서 조성훈이 삼미에 대해 읊는 장면은 압권이다. 출처는 알 수 없지만 나름 진실한 대사가 절절하다. 킥킥대다가 결국은 감동하게 된다. 정말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창단하게 되고, 엉망진창이지만 전지훈련도 갔다 온다. 그야말로 쾌활하다.

 

 느림의 미학을 알게 된 사람들은 이처럼 평온해 보인다. 온화하고, 부러워 진다. 거침없이 달려 가다가 문득 뒤를 돌아 봤을 때, 느긋이 흔들의자에 앉아 낮잠을 자고 있는 사람을 보는 것 처럼 화가 나기도 하고, 부럽기도 한, 묘한 기분이다. 아, 쉬고 싶다. 그런 생각이 절로 든다. 하지만 또 절대 쉴 수는 없을 것 같은 빡빡하고 거침없는 세상. 가만히 앉아 있거나 누워 빈둥대면, 걸림돌이 되어 걷어 차일 것 같은 세상. 마치 코카콜라 공장에라도 들어선 것처럼 정신이 없다. 코카콜라가 쏟아져 나오는 기계 입구를 막아 버리고 싶은 심정이다. 그러니까, 마구 케찹을 뿌려 댄 맥도날드 햄버거를 하나 하나 분해하여, 맥할배 얼굴에 쳐바르고 싶은 심정이다. 오, 맙소사. 그러니까 나는, 그 치열함과 프랜차이즈 간판 아래에 짓눌린 소시민이기에 눈물이 절로 났다, 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