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수업 - 지적이고 아름다운 삶을 위한
한동일 지음 / 흐름출판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0.jpg


있어 보이는 거, 여러 가지가 있을 건데요.
지식에서 있어 보이는 건 클래식, 한자, 전문적인 용어들도 있을 겁니다.
그리고 라틴어 이것도 꽤 있어 보이는 건데요.
유럽 문화와 언어에 영향을 미친 라틴어를 유럽인들도 배우기 어렵다 합니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언어라서 더욱 그렇죠.
하지만 생활 속에서 우린 라틴어를 많이 접합니다.
유비쿼터스, 비전, 아우디, 에쿠스, 아쿠아, 스텔라 등과 같이 익숙한 말들이 
라틴어이거나 라틴어에서 온 말입니다.

 

1.jpg


저자 한동일씨는 한국인 최초, 동아시아 최초의 바티칸 대법원의 변호사입니다.
이곳의 변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라틴어로 진행되는 사법연수원 3년 과정을 수료해야 한대요.
이 과정을 마쳐도 합격 비율은 5~6퍼센트에 불과하니 어려운 공부를 어렵게 끝마치신 분이죠.


 

2.jpg


이 책은 2010년 2학기부터 2016년 1학기까지

서강대에서 강의를 했던 수업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처음 개설할 때만 해도 누가 라틴어에 관심이나 있겠냐고 생각했지만,
한 학기가 지날수록 점점 많은 학생들이 수업을 들었대요.
학생들이 어떤 계기로 이 수업을 듣기 시작했는지는 저마다 다를 겁니다.
'있어 보이려고' 듣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고요.
하지만 그런 유치함도 뭔가를 배우고자 하는 계기가 되고,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무시하면 안 되죠.
이런 유치함도 '위대한 유치함'이 된다고 저자를 말합니다.
저도 학생 때 기타를 배우게 된 것은 바로 남들에게 있어 보이려고 시작했어요.
그게 오래가진 못했지만 어떤 일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소소하지 않다네요.

 

3.jpg


차례입니다.
각 장마다 라틴어 구절과 해석이 나옵니다.
그리고 저자의 생각이 있습니다.

 

4.jpg


"강을 건너고 나면 배는 강에 두고 가야 한다."

 

어찌 보면 아주 당연한 말이죠.
쓸모없는 것들을 아등바등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죠.
이것을 성격에 견주어보면 본래 장점이었던 것도 단점이 되고, 

단점도 다시 장점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단점이 되어 짐이 된다면 과감히 버려야 하죠.

 

5.jpg

 

이것을 인생에 빗대어 보면 어제의 답이 오늘은 답이 아닐 수 있고, 
오늘은 답이 아닌 것도 내일은 답이 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사회가 확 변화는 시기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무엇이든 확실하지 않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 속에서 중심을 잃지 않으려면 스스로를 살펴 앞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무엇이 답인지 아닌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환경에서든지 성찰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거기에서 곁가지를 뻗어나가야 합니다.
이문재 작가의 <지금 여기가 맨 앞> 시를 보면, 

끝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다시 시작이 됩니다.
그것처럼 내가 끝이라고 생각한 이곳이 다시 맨 앞이고, 

정면이라는 것을 잊지 않고 살아가야 합니다.

 

6.jpg


인간은 남을 통해 기억되는 존재입니다. 남에게 비치는 나의 모습 또한 나죠.
특히 죽었을 때 내가 남에게 어떻게 기억되고 싶은지를 생각하고 살면 

후회 없는 삶을 살게 됩니다.
특히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부모님은 아직 내 마음에 살아있지만, 

그다음을 만들어가는 것 또한 내 몫입니다.
계속 슬퍼하기보다 그 기억을 밑거름 삼아 

내 삶의 향기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어떤 일을 하려다가 망설이는 분들은, 이 말을 명심하세요.


"사랑하라, 그리고 네가 하고 싶은 것을 하라."

우리 모두에게는 삶이라는 주사위가 공평하게 던져집니다.
하지만 그것을 어떻게 굴릴지는 자신에게 달려있죠.
어려워서, 힘들어서, 남의 시선 때문에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못한다면 시작하세요.


 

7.jpg

 

과거를 추억하는 것은 좋지만, 과거에 얽매이는 것은 안 됩니다.
"완전이란 이미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라 

시시각각 새로운 창조다."라는 말이 있듯이,
기쁘고 행복한 그 순간을 제대로 느끼고, 그것이 지나갈 땐 당연히 받아들이세요.
그리고 언젠가 다시 기쁠 그 순간을 위해 지금을 살면 됩니다.
힘든 순간에는 절망과 포기하고 싶은 마음을, 분노를 잠시 내일로 미뤄둡니다.
그 순간들이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죠.
"이 또한 지나가리라"라는 말도 있잖아요.
지금 이 순간을 충실히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는 매일매일 충분히 사랑하며 살고 있는가?
나는 남은 생 동안 간절하게 무엇을 하고 싶은가?
이 두 가지를 하지 않고도 후회하지 않을 수 있을까?

 

 

명강의라고 소문난 강의는 누가 들어도 좋은 강의입니다.
5년간 수많은 대학생과 청강생을 감동시킨 서강대 명강의, <라틴어 수업>
대학생뿐만 아니라 결혼하고 아이를 키우는 저한테도 울림이 있는 책이었습니다.
다시 한번 저를 생각해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곁에 두고 볼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