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글샘 > 정말 멋진 과학 교과서이긴 한데...
살아있는 과학 교과서 1 - 과학의 개념과 원리 살아있는 휴머니스트 교과서
김태일 외 지음, 통합과학 대안교과서 편찬위원회 엮음 / 휴머니스트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내가 중학교때 이 교과서를 만났더라면, 나는 문과로 가지 않았을는지 모른다.

그리고, 내가 문과로 간 이후라도 이 책을 만났더라면... 그 원수같은 화학 선생을 이적지 욕하며 살지 않았을는지도 모르겠다.

정말 멋진 교과서다.

고등학교때, 화학이 주당 세 시간이나 들었는데, 나의 은사님께서는 늘 늦게 들어와서는 아름다운 잡소리와 매타작 찜질방 운영으로 시간을 다 보내다가 라스트 스퍼스 타이밍 10분동안 열강을 하시는 환장적인 분이셨다. 다음 시간이 교련이어서, 교복 벗고 교련복 입고, 각반에 요대하고 마후라까지 매고 베레모까지 삐딱하게 걸친 다음 잽싸고 나가서 4열 횡대로 꼬장꼬장하게 서있는 상태로 수업 시작 종을 맞아야 하는 시간에 우리는 지랄같은 화학 수업을 듣고 있었다. 그래서 교련 시간에 국방색 군복을 입은 '인민군'이란 별명의 교관에게 우리반은 늘 기합으로 시작하곤 했다. 그 은사님은 가장 빠른 순번으로 장학사 발령을 받더니, 결국 노른자위가 많은 학교의 교장으로 은퇴하였다.

나는 과학을 잘 하는 문과생이었는데, 늘 화학은 15점 만점에 10점 넘기기가 어려웠다. 그 당시 이과반 평균은 12점이었고(그걸 친구놈 모의고사 성적표에서 확인하고는 고3, 6개월간 화병에 시달렸다.), 그 시험에서 난 12점으로 문과 화학 톱을 했던 것이다.

수업 시간에 눈을 부릅뜨고 들어도 모르던 그 전자가라는 문제가, 이 책을 보는 순간 스르르 풀렸다. 이십 년도 전에 도저히 이해하지 못해서 매번 틀리던 그 문제가... 눈물이 다 나려고 했다. 너무 감격적이고, 너무 원한이 맺혀서...

이 책은 내가 태어나서 본 과학 책 중에서 가장 멋진 책이다. 과학을 업으로 삼고 가르쳐 본 사람들이 무지한 국민들이 얼마나 과학을 어려워하는지를 처절하게 경험하고 집필한 책으로 손색이 없다.

이 책은 부분 부분 읽기에는 중학생도 괜찮다. 그렇지만 역시 고등학교 수준의 과학 교과서로 보아야 하겠다.

물리, 화학, 생물, 지학 교사들이 서로 다투느라고 교육과정이 희한하게 짜지기 십상인 일반계 고교의 과학 수업은, 또 통합 교과가 되어 버려 잘 모르는 것들을 얼버무려 가르치기 쉬운 중학교 과학 수업은 진정한 통합 교과로서의 <과학>의 정신을 잃어버리고 있다.

과학 선생님들에게 이 사실을 물어 보면 잘 알 것이다. 교육과정 편성할 때의 알력과, 통합 과학의 허술한 허점들을... 아마 인정하실 것이다. 그 어려움을 위해 탄생한 훌륭한 책이다.

쉬운 설명, 명확하고 환상적인 도판, 틈틈이 설명을 붙여놓은 용어 해설까지...

아,
그런데,
너무도
너무도
사랑스런
이 책을 읽으면서 고통스러운 것은...
이 사랑스런 책에서 보이는 잘못들이다.

아무리 사랑한다고 해도,
과학 교과서에서
오점을 사랑할 순 없다.

27쪽. 삼투현상 설명에서... 반투막은 용질은 통과하나 용매는 통과하지 못하는 막이다. 틀렸죠? 내가 알기로는 용매가 액체고 용질이 알갱이어서, 용매는 통과하지만 용질이 통과할 수 없는 막일 듯.
38쪽. 그림 맨 밑에... 암석의 융용. 이건 용융의 잘못이다.

혹시 이 책을 미리 사신 분이라면, 이것만이라도 고쳐서 아이들에게 주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