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움직인 문장들 - 10년 차 카피라이터의 인생의 방향이 되어준 문장
오하림 지음 / 샘터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광고가 좋아 카피라이터가 된 저자는 TBWA KOREA에서 가장 오랜 카피라이터 생활을 지낸 후 지금은 29CM의 유일한 카피라이터로 일하고 있습니다. 그럼, 자신의 감정을 움직이고 행동하게 한 문장들을 모으는 걸 좋아하며 세상을 떠다니는 문장을 붙잡고 살아가는 저자가 선보인 <나를 움직인 문장들>을 보겠습니다.



나의 '자존'을 만드는 것은 이런 것입니다. 자존에 타인은 필요 없습니다. 내가 아는 나만의 완성도를 쌓아나가는 행위.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자신은 알기에 최선을 다하는 그 행위, 그런 사소한 것들이 쌓이고 쌓여 나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밖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50년간 15만 명을 돌본 정신과 의사가 살아보니 인생은 필연보다 우연에 좌우되었고, 세상은 생각보다 불합리하고 우스꽝스러운 곳이라는 것을 알았답니다. 그래서 '산다는 것은 슬픈 일이지만, 사소한 즐거움을 잃지 않는 한 인생은 무너지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드라마나 영화의 한 장면 같은 순간이 와주면 고맙겠지만 그것을 기대하며 살면 결국엔 실망 가득한 삶이 될수밖에 없습니다. 기대는 내가 이룰 수 없으나 오늘 만나는 사람, 점심과 저녁의 메뉴, 상대에게 얼마나 반갑게 인사할지 정도는 내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소함은 그저 하면 됩니다. 그저 하면 되는 사소함이 모여 매일이, 일주일이, 1년이, 평생이 되는 것입니다. 내가 지킨 그 사소한 즐거움이 언젠가 무너진 자신을 지켜줄 것이라 믿고 그저 하는 수밖에요.

'정의'란 '자신의 일을 하는 것'이라는 이국종 교수의 말. 그 말과 비슷한 말은 '일상'일 것입니다. 해야 할 일을 한다는 약속을 모두가 지켜줬기 때문에 어제와 같은 오늘이 있는 것입니다. 자신의 일을 해내는 것이 정의라 생각하면 우리는 모두 멋지게 살고 있습니다. 잘 지켜봤자 최대치는 평범한 일상이라 그동안 모르고 살았을 뿐입니다. '우리는 오늘도 모두가 지킨 정의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실패 지점'. 해석에 따라 이 실패는 한계가 되기도, 목표가 되기도 합니다. '실패를 극복해 더 높은 실패로 나아가는 것이 목표'라니. 운동이란 것은 매번 자신의 체력을 극한까지 도달해 한계를 맛봐야 끝이 납니다. 운동을 중도에 포기하는 이유가 매번 경험하는 그 실패의 맛 때문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패가 단지 실패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부터 운동은 재미있어집니다.




카피라이터는 자신이 쓴 글로 사람들을 설득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광고, 포스터 등에 그래픽 광고, TV CM, 라디오 CM, 웹 사이트와 배너 광고 등에 사용하는 문구를 쓰며, 그 중에는 아직까지 우리들 기억 속에 남는 문구들이 있습니다. <나를 움직인 문장들>은 10년 차 카피라이터인 저자가 20살부터 문장을 모으는 습관이 있었고, 모아둔 문장들을 혼자 보기 아깝다는 생각에 몇 년 전부터 자신의 생일에 모은 문장을 엮어 책 형태로 제본해 친구들에게 주었답니다. 그리고 이 선물은 우연한 기회로 편집자를 만나 책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저자가 모은 문장들은 명언과는 다릅니다. 위인이 아니라 연예인, 직업인, 또는 일반 사람이 말한 문장에서 감정을 움직이고, 행동하게 만든 것들입니다. 그렇게 평범한 말이 더 값지게 다가오고, 평범한 우리들의 일상에 오래동안 울림으로 남습니다. 저자의 문장을 모으는 좋은 습관처럼 나도 책을 읽으면서 마음에 다가온 문장들을 한곳에 모아야겠습니다.




네이버카페 이벤트에 당첨되어 책을 제공받고 쓴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