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섹타겟돈 - 곤충이 사라진 세계, 지구의 미래는 어디로 향할까,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올리버 밀먼 지음, 황선영 옮김 / 블랙피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에서 '가디언'의 환경 전문 기자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는 알래스카의 사라지는 빙하, 산불로 인한 캘리포니아의 다 타버린 도시의 잔해, 허리케인으로 인해 페레가 된 푸에르토리코의 마을 등을 직접 취재하면서 지구 환경의 위기를 느끼고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환경 운동에 동참하고 있는 저자의 <인섹타겟돈>을 보겠습니다.



곤충은 우리의 식량을 늘려주고 우리 주변에서 살아가는 다른 생물들의 먹이가 됩니다. 그리고 악취 나는 쓰레기를 처리해 주고, 해충을 제거하고, 토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일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토양은 깊이가 15cm 밖에 안 되지만 지구를 감싸서 인류가 살아가게 해줍니다. 수분 매개자가 없으면 식물은 죽고 대체되지 않습니다. 그러면 그 식물의 열매를 먹는 새나 싹을 뜯어 먹는 사슴이 점점 줄어듭니다. 새나 사슴을 잡아먹는 동물들도 곧 그 뒤를 따릅니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대학교 교수 레이철 워런은 생태계에서 모든 것이 이런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망으로 연결되어 있다며, 종이 하나씩 사라질 때마다 네트워크 링크 몇 개를 끊어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합니다. 링크를 많이 끊을수록 인터넷이 적게 남을 것이고, 결국 인터넷이 더는 작동하지 않는다며, 먹이그물 전체가 무너진 세상에서는 인류가 결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고 단언합니다.


곤충의 위기는 앞으로 더 분명하게 드러나겠지만, 종 간에 미묘한 차이는 있을 것입니다. 곤충이 전부 사라지지는 않고 승자와 패자가 생길 것이며, 곤충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생물 다양성 위기에서는 거의 모든 야생동물이 고통받고 있습니다. 자연적인 서식지가 농업, 도시나 도로 건설 등으로 사라졌을 때 타격을 가장 많이 받는 동물은 무당벌레와 거미 같은 작은 무척추 포식자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침식과 오염 물질로 토양이 훼손되고 수로가 더러워지는 바람에 곤충의 세계가 더 좁아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코네티컷 대학교 곤충학자 데이비드 와그너는 미래에는 생물군이 대단히 단순화될 것이라며 곤충이 존재하긴 하겠지만 크고 독특한 것들은 죽어버렸을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아이들은 작아진 세상에서 살게 될 거라며 그것이 우리가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는 유산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 지금 우리는 행동에 나서야 합니다. 곤충을 죽이던 습관을 버리기란 쉽지 않은 도전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발짝 물러나서 생각하면 곤충의 위기를 극복하는 일은 놀라울 만큼 간단할 수도 있습니다. 그저 몇 가지 행동을 그만두면 됩니다. 행동에 나서지 않는 것, 즉 자연을 덜 다듬는 것만으로도 충분할지도 모릅니다. 특정한 화학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곤충이 살아갈 공간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변두리에라도 야생 식물을 골고루 심겠다는 것입니다. 계획 중 대부분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소소한 활동입니다. 잔디를 깎는 횟수를 줄이거나 밤에 불을 너무 밝게 켜놓지 않으면 됩니다. 한발 더 나아간 계획이라고 한다면 잘 정돈되고 깔끔하게 손질된 잔디밭이 꼭 필요한지 고민해 보는 것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곤충이 사라졌습니다. 하늘과 숲에서 생활하는 파랑새, 쏙독새, 딱따구리, 참새는 불안한 몸짓을 보였습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진딧물이나 나방처럼 먹을 수 있는 것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지구상에 있는 새 약 1만 종 중 절반이 굶주림을 견디지 못하고 멸종하고 말았습니다. 새, 다람쥐, 고슴도치, 인간 등 이 땅에 발을 딛고 살고 목숨이 있던 생명의 사체가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검정파리의 구더기는 일주일 안에 인간 시체의 60% 분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검정파리뿐만 아니라 시체를 분해하는 일을 했던 송장벌레를 포함한 딱정벌레 등 온갖 종류의 벌레가 사라졌습니다. 박테리아와 곰팡이는 살아남아서 여전히 시체를 분해했지만 그 정도로는 어림이 없습니다.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이 썩지 못했고, 남은 사체의 뼈와 살도 모자라서 배설물까지 말썽입니다. 쇠똥구리는 적어도 6500만 년 동안 지구를 청소해왔지만 쇠똥구리 8000종이 전멸하면서 동물의 배설물이 분해되지 않았습니다. 야생동물과 가축의 배설물이 전염병처럼 지구에 자국을 남겼습니다. 땅 수백만 에이커가 황폐해졌고, 쓰러진 나무와 떨어진 잎도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식량 공급 시스템도 무너졌습니다. 전 세계 식량 작물 생산량의 1/3 이상이 벌 수천 종과 나비, 파리, 나방, 말벌, 딱정벌레 같은 곤충의 수분 작용에 의지했습니다. 그런데 수분 매개자들이 사라지는 바람에 모든 것이 멈췄습니다. 그나마 바람이 수분 매개자 역할을 하는 밀, 쌀, 옥수수와 같은 기본 식료품 덕택에 인류가 굶어 죽지는 않지만 빈곤층과 취약 계층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지구상에 있는 생명의 대부분을 지탱해 주는 식물들이 죽고 말았습니다. 생태계가 통째로 무너졌고 기후변화가 가속화되었습니다. 황폐해진 지구에서 생명체가 연이어 멸종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곤충이 멸종된 후 지구의 미래입니다. 환경 전문 기자인 저자가 기사와 연구 자료, 관련 교수의 인용을 통해 일반인의 눈높이에서 다양한 근거와 위험한 지구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눈앞에 벌어지는 곳곳의 현상으로 지구의 미래 모습이 점점 다가온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 경고를 무시하지 말고 우리 모두가 행동에 나서야 할 때입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쓴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