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 - 현실 편 : 철학 / 과학 / 예술 / 종교 / 신비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개정판) 2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운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신비를 쉽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파트별 중간 정리와 최종 정리로 개념까지 잡아주는 책은 처음 접해봅니다.

그래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시리즈가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를 몇 년간 차지하고 있는 이유겠죠.

이렇게나 유명한 책을 1권에 이어 <지대넓얕2>으로 만났습니다.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는 앞의 현실 세계의 나머지인 

현실 너머의 세계를 탐구합니다.


그리고 그 탐험의 시작은 진리부터입니다.

철학, 과학, 예술, 종교에서도 진리에 대해 정의 내리기가 쉽지 않으며, 

아직도 각 분야에서 진리를 찾고 있습니다.

우리는 진리가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무엇이어야 하는지는 알고 있습니다.

진리의 속성인 절대성, 보편성, 불변성을 인정하면 이러한 속성을 충족하는 

무엇인가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모르는지, 상관없는지에 따라 

절대주의, 상대주의, 불가지론, 실용주의로 나아가게 됩니다.

불가지론과 실용주의는 무미건조한 하루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배우지 않아도 

이미 체득한 태도이고, 이 책에서는 절대주의와 상대주의를 중심으로 전개합니다.

진리의 조건과 역사를 배우면 다음에 나올 진리의 후보자들인 

철학, 과학, 예술, 종교를 만나게 됩니다.


철학은 절대주의, 상대주의, 회의주의의 3가지 입장으로 

서로 발전하고, 경쟁해왔습니다.

진리가 있는 절대주의, 진리가 없는 회의주의, 다양한 진리를 고려하는 상대주의로 

3가지 입장으로 철학사를 구분해 단순화시킵니다.

한 명의 철학자나 하나의 철학 사조를 한 가지 입장으로 규정하는 것은 쉽지 않고,

오해의 가능성이 큽니다.

또 같은 절대주의 철학자라고 해도 각각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향성은 

세부적인 면에서 큰 차이를 가질 수 있지만 단순하게 3가지 입장으로 

구분 지어서 철학사를 개괄하면 어려운 철학에 대한 기본 틀을 확립할 수 있습니다.



이제 두 번째 후보인 과학을 살펴봅시다.

<지대넓얕2>에서 과학의 역사를 알아보며 과학이 어떤 성과를 만들어왔는지 

그리고 무엇이 과학을 진리의 유력한 후보가 되게 했는지를 검토합니다.

과학 역시 진리에 대한 세 입장인 절대주의, 상대주의, 회의주의로 구분해서 살펴보며,

상대주의와 회의주의의 태도는 비주류로 배제되어왔고 등장한 시기도 최근입니다.

과학은 실험과 관찰을 통해 검증되지 못한 이론들은 과학적 방법론에 의해 

빠르게 폐기되었던 까닭에 상대주의와 회의주의가 등장할 만한 

상황이 많이 생기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절대주의적 측면이 강한 근대까지의 과학사와, 아인슈타인 이후 

상대주의적 측면의 과학사를 알아보고, 

과학철학 속에서 등장한 회의주의적 견해도 설명합니다.



예술도 진리의 후보가 될 수 있습니다.

예술을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예술을 향유하는 과정에서 

삶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얻습니다.

개인이 얻는 통찰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시키기 어렵기에 진리로 강조되지 않았지만,

사적 측면에서의 예술 작품은 수많은 사람을 진리에 이르게 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예술에는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단순하게 시간과 공간의 형식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책에서는 공간적 형식을 기반으로 하는 

예술 작품들에 논의합니다.

어떤 그림이 훌륭한지에 대한 생각이 시대에 따라 변했고, 

그에 대한 관점이 고전주의(절대주의), 낭만주의(상대주의), 

현대 미술(회의주의)로 시대에 따라 발전합니다.



보통 사람들들은 종교가 진리에 닿아 있다고 생각할 겁니다.

인간에게 중요한 문제는 내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떻게 살아야 하고,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종교는 다른 학문보다 이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다만 그 답변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없다는 점이 

종교가 독단적으로 배타적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갖게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사람들을 위로하고 그들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해 줌으로

자기 삶을 진리 앞으로 다가서게 합니다.


지금까지 대화를 위한 지식들을 알아보았고,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의 6장에선 대화할 수 없는 것에 대해 말합니다.

죽음의 순간과 죽음 이후에 대해 알아보고, 반대편의 삶에 신비에 대해서도 보여줍니다.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2>를 읽으며 현실 너머의 세계에 대해 

조금은 알게 되었습니다.

진리에 대한 태도에 따라 철학, 과학, 예술, 종교는 대부분 

절대주의, 상대주의, 회의주의로 나눌 수 있고, 

한 명의 개인은 개개인의 사적인 공간에서 살아가며, 주관적인 경험으로 살아갑니다.

"인생의 의미와 깊이는 타인과의 대화 속에서 비로소 빛을 낸다"란 말처럼

이 책에서 배운 의미와 깊이로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 출발점이 되었으면 합니다.




네이버카페 이벤트로 책을 제공받고 솔직하게 쓴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