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에 구멍을 내는 것은 슬픔만이 아니다
줄리애나 배곳 지음, 유소영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주관적인 관점에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줄리애나 배굣의 단편소설집.

-포털-

공상과학 소설이지만 풍기는 이미지는 묘하게 매력적이고 서정적이다.

언제부턴가 나타나기 시작한 포털들.. 적게는 한 개에서 많게는 여러 개가

한꺼번에 열려있기도 했다.

아름다운 음악이 들리거나 그리운 누군가를 만질 수 있다거나

혹은 누군가 사라지기도 헀다.

사라졌던 이가 다시 돌아오기도 했지만 영영 돌아오지 못한 이도 있다.

열린 포털들은 사람들의 심리적인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곤 한다.

그리고 나는 묻는다. "내 앞의 포털에 손을 넣어보면 나는

무엇을 느낄까? 무엇을 만지게 될까?"

지금 우리의 마음은 어떤 상태인지 포털을 통해 생각해 보게 한다.

"밑줄 긋기"

우주에 구멍을 내는 것은 슬픔만이 아니다 누군가가 두려워하는 것, 원하는 것. ...

비밀과 수치심도 구멍을 낼 수 있다. 우리에 세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모르겠다. 마침내 우리는 익숙해졌다.

-버전들-

나를 대신할 버전. 로봇이라 해야 할까?

아트리스와 벤은 결혼식에 초대를 받았다. 물론 둘은

아는 사이가 아니다. 그리고 '버전들'은 이들의 이야기이지만

이들의 이야기가 아니기도 하다.

초대받은 결혼식에 자신들이 아닌 자신의 버전을 보낸다.

서로가 버전이라는 것을 알아보지 못할 만큼 완벽한 그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서로가 버전임을 알고 결혼식장에서

서로를 알아간다. 그들의 대화는 아름답지만 섬뜩하기도 한다.

사람을 대신하는 버전들...

그로 인해 사람들은 많은 것을 놓치고 잃게 될 것이다.

아름다운 이야기에 무거운 메시지가 숨겨져 있는 이야기다.

"밑줄 긋기"

벤과 아트리스가 서로를 보고 둘 다 버전이라는 것을 알아차린 것이 바로 그 순간이었다

자비스 샤피로의 잘난 척하는 한마디가 없었다면 과연 알아차렸을까?

동족을 알아보고 교류하는 기능도 프로그램에 있던가? 알 수 없다.

그들은 댄스 플로어로 나가서 한 손을 맞잡았다. 벤은 다른 손을 아트리스 허리에

아트리스는 다른 손을 그의 어깨에 놓았다. "당신은 어디 살아요?" 아트리스는 그의

뺨에 대고 숨을 내쉬었다. 더 깊은 진실을 알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