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 현대문학 핀 시리즈 장르 3
이희영 지음 / 현대문학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얼굴이 보이지 않는 시울이를 통해

거울뒤에 숨겨진 우리의 진짜 얼굴찾기

자신의 얼굴을 볼수가 없다?

거울로도 사진으로도 그림으로도.

그 무엇으로도 자신의 얼굴만 볼수없다.

소설속 주인공 시울이의 사연이다.

언제부터 자신의 얼굴이 보이지 않았는지

정확히 알수없지만 여섯살때 유치원에서

남들과는 다르다는걸 알게되고 울음을

터트렸다. 그 뒤로 시울이는 거울속 자신이

안개가 가득낀것같은 모습, 검게색칠해놓은모습,

때론 꽃으로 가득차거나 젖소의얼룩무늬가

있거나 늘 상상을 뛰어 넘는 모습으로 보인다.

그렇게 시울이는 모두를 속이고 평범하게

살아간다. 자신의 얼굴이 보이지 않다보니

다른 친구들처럼 예쁘게 보이기위해 꾸미지

않는다. 자신의 외모에 크게 신경도 쓰지

않는다. 언젠가 자신의 얼굴을 보게되면

어떤기분이 들지 생각은 하지만 말이다.

그리고 사건이 하나 터진다.

같은반 친구의 실수로 시울이 이마가

찢어지게되고 20바늘이나 꿔매는일이 생겼다.

그리고 기적처럼 시울이는 이마에 남은

흉터를 보게된다. 흉터만 보이지만 시울이는

그 흉터를 온전한 자신으로 받아드리고

다른이의 걱정과는 달리 흉터보는게 즐겁다.

그렇게 시율이는 남들과 다른것을 깨닫고

생각과 마음이 더 강하게 자란다.

그리고 자신에게 상처를 입혔던 친구의

마음까지 보듬어준다.

시울이를 통해 우리는 얼마나 많은 가면속에서

시시각각 나와 다른이들을 속이고 사는지

깨닫게 된다. 잘보이고싶고 이뻐보이고 싶고

억지로 웃으며 괜찮은척 쿨한척 ...

매일이 척척 인 삶이다.

조금은 진실되게 그리고 조금더 숨김없이 나를

바라보고 내 보일수있는 사람이 되길 바래보며

책을 읽는 이들이라면 꼭 한번은 모두

읽어보길 추천한다.

-밑줄 긋기-

이슬은 하루를 여는 신호가 아니겠냐. 뭐든 시작할 수 있는 푸룻푸릇한 생기랑 똑 같지. 그러니 얼마나 반짝이겠냐. 우리 엄마는 내 얼굴에서 그 생기를 본 거야. 그런데 정작 본 인은 보지 못하지. 내 안에 얼마나 많은 것들이 있는지. 66쪽

라미가 자신의 진짜 매력을 모르듯, 사람들이 할머니의 소녀 같은 호기심을 못 보듯, 우리는 어쩌면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백지보다 귀퉁이의 작은 얼룩에만 집중하는지도 모른다. 비록 나 는 내 얼굴을 볼 수 없지만, 세상은 볼 수 있다 그리고 언젠가 때가 되어 기적처럼 내 얼굴과 마주하는 날이 온다면, 그때의 나에게 미안해하 지 않을 정도의 얼굴을 만들어가고 싶다. 1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