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헬레나에서 온 남자
오세영 지음 / 델피노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 세영 역사소설
세인트 헬레나에서 온 남자
델피노 출판사 

-줄거리-
홍경래난이 실패로 돌아가고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겨우 살아남은
안지경은 대원수의 유지를 받들기위해
후일을 도모하며 도피생활을 한다.
하지만 그마저도 발각되서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데 하늘이 돕는걸까?
위기앞에 나타난 영국배 알레스토 호를 
만나게 되고 그 배에 승선하게 되는데... 

-생각 나누기-
1811년 홍경래의 난 과 1789년 프랑스 대혁명.
역사적 사실에 안지경이라는 픽션이 얹어져서
새로운  역사소설이 탄생했다. 

사실과 허구를 넘나들때의 재미는 크다.
더군다나  우리나라의 역사만이 아닌 
외국의 역사와  인물들이 등장하니  그 재미는
상상이상이다.  그렇다고 재미만 담은것도
아니다.  평등과 자유를  꿈꾸며  백성들을
위해 진심으로 번뇌했던 모습들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안지경과 나폴레옹의 만남이 너무 신선했고
안지경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프랑스대혁명.
그리고 그들이 이뤄낸 결과물들을 꿈을꾸며
배우는 자세는 감동이었다. 

큰 꿈을안고 다시 돌아온 조선에서 
썩을대로썩은  조선의 민낯을 보게되지만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고 다시 혁명을 꿈꾸는
안지경은  어쩌면  평등과 자유를 외치며
죽어갔던 수많은 선조들의 모습일것이다. 

'세인트 헬레나에서  온 남자' 는
누구나 쉽게 흥미롭게 읽을수  있는 소설이다. 

-밑줄긋기-
백성을 위한 나라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 차한상의 입안에서 맴돌았다. 부정할 사람 아무도 없을 당위성을 지니고 있지만 따지고 보면 공허한 언사일뿐이다. 세상에위민을 표방하지 않는 나라는 없다.  47쪽 

네 말이 일부 맞더라도 나는, 그리고 뜻을 함께하는 동지들은 절대로 조선의 혁명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뿌리 깊은 나무라고 했나? 그렇다면 혁명의 의지는 마르지 않는 샘이다. 뜻을 이룰때까지 혁명의 불꽃은 계속 타오를 것이고 언젠가는 백성의 나라를 열 것이다. 33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