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빗
고혜원 지음 / 팩토리나인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줄거리-

산에서 산삼을 발견한날 마을에 폭탄이 떨어졌다.

그리고 홍주의 인생이 완전히 바뀌어 버렸다.

이름도 없는 소녀들. 나라를위해, 복수를위해

혹은 갈곳이 없어서 그렇게 모인 소녀들이 '래빗'

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목숨을걸고 험한 산을 오르내리며 첩보원으로

살아가는 소녀들. 살아돌아오거나 죽거나.

혹은 변절자로 의심받고 죽임을 당하거나.

그 래빗들 중심에 홍주가 있다. 끈질지게

살아돌아오는 독한년 홍주.

-생각 나누기-

한국전쟁에소녀 첩보원이 있었다는 사실을

예능프로에서 우연히 알게된 작가님은

반성의 마음으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한다.

소설이라고 쓰인 글이지만 우리는 알고있다.

수많은 소녀와 소년병들의 죽음을..

이름한자 남기지 못하고 연기처럼 사라진

아픈 이들을 우리는 어렴풋이 나마 알고있다.

아니 어쩌면 알고 싶지 않아서 외면하며

살아왔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소설보다 더 소설같은 그들의 이야기가 꽁꽁

숨겨져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있다.

그래서 인지 한장 한장 책장을 넘기는 손길이

무겁다. 소설 속에서만이라도 죽지않고

행복했으면 하는 바램이 가득 차오른다.

그리고 함께 운다.

찢겨져 흔적도없이 사라진 역사의 한 폐이지를

찾은듯한 느낌이 들었다. 지금 숨쉬고 살고있는

이땅의 고귀함을 다시금 되새기게 된다.

-책속에 밑줄긋기-

마음이 약한게 아니라 인간적인 겁니다. 최대희소령은 그둘을 종종 헷갈리시더라고요. 전쟁을 핑계삼아 인간성을 버리지 마십시오. 그건 승리가 아니라 학살이라고하는것 입니다. 22쪽

현호는 자신과 동갑이라는 홍주가 어른처럼 느껴졌다. (중략) 이 아이는 이런일을 많이 겪은걸까. 이 상황들이 익숙한걸까. 그러한 생각끝에 결론은 하나였다. 힘들었겠다. 현호도 홍주를 힘주어 안아주었다. 101쪽

무언가 좋았던 기억을 떠올리는 것은 하지 말았어야 했다. (중략) 추억이 얼마나 자신을 나약하게 만드는지를 깨달았다. 이럴까봐 참아왔던 거고 이럴까봐 거리를 두는 것인데 그날의 기억이 뭐가 그리 좋아서 갑자기 전쟁 이전에 본 사람이라고 하니 반가움이 들어서 한 실수였다. 115쪽

유경은 홍주를 따뜻하게 안아주었다. 홍주는 피란민 할머니를 떠올렸다. 누군가에게 안기는건 기댈곳이 있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안아주는 품에 잘 기댈줄 알아야 한다고 그랬지. 홍주는 긴장을 풀고 그저 유경의 품에 기댔다. 그러고는 잠시 기댈곳이 있다는 것에 안도했다. 죽고싶지 않다고 처음으로 고백한 날이었다. 17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