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위대한 질문 - 우리는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 위대한 질문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릴 움직이는 건 질문이지 그게 널 여기까지 오게 만든 거야.”


워쇼스키 형제의 유명한 영화 <매트릭스>에 나오는 대사다. 가상의 세계에서 지내던 네오가 실제 현실로 나왔을 때 트리니티가 네오에게 한 말이다. 질문이 없으면 목적지를 발견할 수 없다. 따라서 목적지보다 중요한 건 바른 질문이다. 


서강대 철학과 최진석 교수는 현대인과 근대인의 구분을 하면서 그 구분의 기준을 '질문함'과 '질문하지 않음'에 두고 있다. 질문할 때 인간은 비로소 자기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질문하지 않을 때 집단 속에 파묻혀 지낸다고 한다. 대답은 잘하지만 질문하지 못하면 기술은 뛰어나겠지만 장르는 만들어 낼 수 없다. 질문하지 않을 때 우리는 집단의 이야기 속에 살게 되지만 질문할 때 자기 이야기를 갖고 삶을 주도하게 된다. 질문하며 찾아가야 그 이야기에 감동이 있다는 것이다.  


랍비 힐렐은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만일 내가 나 자신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면 누가 나를 위해 존재할까? 만일 내가 오로지 나만을 위해 존재한다면, 나는 무엇인가? 지금이 아니라면 언제인가?”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우리는 무엇에 이끌려 가고 있는가? 나는 타인의 이야기 속 인물인가 아니면 내 이야기 속의 주인공인가? 나는 누구인가? 그리고,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성경은 질문의 책이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묻고, 인간도 하나님과 세상을 향해 묻는다. 배철현 교수는 최근 『신의 위대한 질문』과 『인간의 위대한 질문』두 권의 책을 냈다. 두 책의 각 장 제목은 모두 성서에 나온 질문들을 정리한 책이다. 목차만 펼쳐 놓고 보니 엄청나게 묵직하게 다가왔다. 피하고 싶다. 이 질문들과 시선을 마주치고 싶지 않은 마음이다. 아직도 내 안에서 이해도 못하고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내용들도 있기 때문이다. 이 물음들을 하나씩 마주할 때마다 볼 때마다 우리들 정신의 밭을 뒤엎는 듯하기도 하고 꺼져 있는 등불이 하나씩 켜지는 것 같기도 하다.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하느냐?”(마16:15), 


프롤로그에 나온 이 물음은 무대 위에 올려진 연극이나 작품 속 대상에 대한 평가를 묻는 것이 아니다. 당신을 직접 경험한 제자들에게 한 물음이다. 멀리 있는 대상이 아니라 자기  현실과 실존에서 예수는 어떤 분이었는지를 묻는 것이다. 실존은 가상의 상황이 아니다. 내가 지금 숨쉬고 살고 있는 여기가 실존이다. 하비 콕스는 이 시대는 ‘무엇을 믿느냐’에서 ‘어떻게 살것인가’를 묻고 있으며 기독교는 교리나 도그마가 아니라 영성 시대로 진입했다고 한다. 저자는 그래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물음을 위해 우리들을 그 질문들 앞으로 끌고 들어간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