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유럽 : 하나의 역사
노먼 데이비스 지음, 왕수민 옮김, 박흥식 감수 / 예경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리보기로만 봐도 그야말로 어질어질한 수준의 번역. 뜻을 틀리게, 심지어 완전히 반대로 번역해 놓은 곳 투성이에, 문장 자체도 한국인이 아니라 외국인이 쓴 것처럼 엉망진창이다. 자질이 안 되면 번역을 맡기지도 맡지도 말아야지. 지식유통업자로서의 직업윤리는 엿 바꿔 드셨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의 자리 - 과학이 사라진 사회, 과학적 사회를 위한 제언
김우재 지음 / 김영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한 과학자의 자의식 폭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즈 선언
윈턴 마설리스.제프리 C. 워드 지음, 황덕호 옮김 / 포노(PHONO)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자가 한국어를 잘 못하고, 글을 못 쓰는 것 같습니다. 좋은 산문을 읽으면 내용을 떠나서 그 자체로 기분이 좋아지듯이 못 쓴 글을 읽으면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짜증이 나는 법인데, 이 책이 딱 후자에 해당합니다. 번역투다, 가독성 떨어진다 이런 문제가 아니라, 그냥 너무 못 쓴 글이라 화가나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lighter 2020-12-25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저자는 능숙한 이야기꾼이 편하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문체로 글을 썼음이 분명한데, 비루한 번역이 그런 느낌을 다 죽여버렸습니다. 가독성이나 이런 걸 떠나서 (어차피 어려운 책이 아니라서 잘 안 읽히고 그럴 일은 없습니다) 그냥 읽는 재미를 번역이 다 망쳐놨어요. 재미있는 이야기가 교장선생님 훈화말씀처럼 읽히고 하나도 재미가 없습니다. 원서로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철학자의 거짓말 - 삶의 진실은 영원히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남는다
프랑수아 누델만 지음, 문경자 옮김 / 낮은산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제는 너무 흥미로운데 번역이.. 도저히 읽을 수가 없다.. 독서를 즐거움이 아니라 고된 노동으로 만드는 번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분석철학의 성격을 규명하는 개략적이고도 손쉬운 방법은, 분석철학이과학과 같은 탐구 활동뿐만 아니라, 통치와 같은 실용적 노력 활동을포함하여, 인간의 실천과 활동에 핵심적인 개념들을 분석하는 데 관계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분석철학자들은 그들의 유산을 소크라테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분석철학자들은 (얼마간자축하는 어투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지식이란 무엇인가?", "정의란 무엇인가?"라고 물으면서 고대 아테네거리를 활보하고 다녔는데, 그런 물음에 대한 진부하고 또 현실 타협적인 답변을 뒤집어엎음으로써 보다 엄격한 분석을 위한 길을 닦아 놓았던것이라고,



 예술 분석 철학자는 경험적 사회과학자와는 다른 방향의 탐구에 관계하기 때문에 그의 방법은 다르다. 왜냐하면 예술 개념과 같은, 우리 개념의성격과 구조를 반성하면서, 실험, 여론 조사, 민속학, 경험적 관찰 등과같은 것이라기보다는, 논리, 정의, 사고 실험, (상상적인 예를 포함한)반례, 연역 논증이 그의 일차적 도구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은 분석철학자들에게 그처럼 근본적인 전략들을 사회과학자들도 이용할 수도있다는 점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 전략들이 분석철학의 핵심인 반면 사회과학자에게 있어 그것들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덜 중심적이고 종종 임의적이라는 점을 언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그것을 못하게 막는다. 학생들이 때때로 분석철학에 대해 화를 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분석철학은 학생들의 기대를 좌절시키고,
 그들의 경험적 훈련에 반한 것이다. 우리가 실제로 우리의 예술 개념을구성하는 것을 배우려 한다면, 왜 앙케트를 돌리고, 검사를 하고, 표본조사를 하지 않느냐고 그들은 묻는다.
 그러나 이미 보았듯이, 그런 모든 물음이 경험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것은 아니다. 어떤 물음은 개념 분석을 필요로 한다. 개념적 사변과 경험적탐구가 다른 선택의 여지 없이 그 모두가 경험적 탐구인 —— 어떤 제로섬게임으로 서로 얽혀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옳지 않다. 실제로 개념분석이 때로는 경험적 탐구를 보완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개념 분석은스포캔에서 예술작품을 찾아야 하는 사회과학자에게 예술 개념을 제공할수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 또 다른 경우 우리의 물음 중 일부는 일차적으로개념 분석을 필요로 할 수도 있는 반면에, 여전히 다른 경우에 경험적탐구는 피할 수 없다. 우리 물음의 성격이 최선의 탐구 방법을 결정할것이다. "포르노그래피란 무엇인가?"는 개념 분석을 요구한다. "글래스고에 얼마나 많은 포르노그래피가 있는가?"는 경험적 탐구를 요구한다.
탐구의 두 길에는 저마다의 목적이 있고, 이어서 이것은 그것들 특유의기술, 절차, 추론 및 논증 방식을 형성한다.

 이 책에서 보이는 철학적 전문 기술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한 가지더 유념할 것이 있다. 이 기술들은 성격상 비판적이다. 이 책이 사용하는많은 기술은 이론과 관점들이 잘못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방법과 관계한다.
이렇게 비판을 강조하는 것은 어떤 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 그것은 가끔 여러분에게 아무것도 아닌 것을 가지고 말다툼을 벌이거나 탁상공론을하는 변호사들처럼 공허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것은 예술철학 이 파괴적인 것에 지나지 않아서 순전히 냉소나 초래하는 침울한 인상을

 남길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식과 이해가 증진되는 것은 비판을 통해서라는 점을 명심하는것이 중요하다. 한 이론을 논박하는 것은 여러분에게 그것이 틀렸거나부적절하다는 것(이야기가 끝이라는 것)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여러분에게 아직 해야 할 일에 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한 이론이 간과했거나 무시했던 것을 주목하는 것은 다음번에 간과하거나 소홀하지 말아야할 것을 자각하게 해준다. 앞으로 보겠지만, 재현적 예술 이론의 어떤 단점들은 표현적 예술 이론과 형식주의로 가는 길을 지적으로 마련한다.
이렇게 비판은 긍정적이고 강력하게 점진적인 지식 획득에 이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