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베트남전쟁에 지상군을 파병한 국가로 사실상 한국이 유일하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아마 여러분들도 대부분 이 사실을 모를 것입니다. 전 세계가 베트남전쟁에 반대할 때 우리만 베트남전쟁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셈입니다.

사실 미국 입장에서는 베트남전쟁 초기에 백인과 베트남 인이 싸우는 모습이 전 세계에 중계되는 상황이 좋을 리 없었습니다. 인종 간의 전쟁으로 보이니까요. 그런데 그 전쟁에 또 다른 아시아 국가가 미국 편에서 참전해 주었으니 얼마나 고마웠겠습니까. 박정희는 이 일로 미국의 확실한 신임을 얻게 됩니다.

우리는 1964년부터 1968년까지 5년 동안 32만 명의 지상군을 파병했는데 대만은 달랑 20명을 파병했습니다. 20만 명이 아니라 20명 말입니다. 대만 역시 미국의 압박을 견디지 못해 파병했을 텐데 오죽하면 20명을 보냈을까요. 그러니까 한국이 사실상 유일한 지상군 파병 국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그 많은 전투병을 위험한 전쟁터로 보낸 것일까요? 그 이유를 살피기 위해서는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의 이력을 들여다봐야 합니다.

박정희가 좌익이 아님을 미국에 증명하기 위해 파병 요청에 응한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생님은 “내가 하는 말을 믿지 마라. 왜 그런 말을 하는지 그 배후를 의심해라. 비판적으로 사유해야 성숙한 민주시민이 된다”라고 가르칩니다.

예를 하나 들어볼까요. 저는 독일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보고 깜짝 놀랐던 적이 있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제1장의 제목이 충격적이었습니다. ‘올바른 해석은 존재하는가(Gibt es eine richtige Interpretation)?’ 문학 텍스트를 읽을 때 우선 옳은 해석의 존재 유무에 대해서 사유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여기서 이미 ‘해석학’의 대주제가 다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바로 문학이라는 다의성의 세계에 초대장을 건네는 것이지요. 「님의 침묵」에서 님이 연인인지, 조국인지 고르라는 우리의 해석 폭력과는 차원이 다른 것입니다. 문학작품의 해석을 마치 작가의 의도를 찾는 보물찾기로 생각하는 우리 교육과는 차원이 다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 ‘모든 지배적인 지식은 지배하는 자의 지식’이라고 보기 때문에 지식 그 자체보다는 특정 지식이 지배적인 지식이 된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일 헌법 제1조 그것은 “인간 존엄은 불가침하다(Die Würde des Menschen ist unantastb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의 행동을 알게 모르게 통제하는 사회적인 시선 그 자체도 억압일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모든 종류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추구하는 운동이 1968년에 폭발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