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마음성장학교 - 삶의 가치를 되찾는 8주 코칭
김은미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성장학교를 읽으며 나를 바라보고 내가 모르는, 인정하기 싫은 내 모습도 들여다보게 되었다. 물론 나의 사랑스러운 모습도 생각하면서...
8주 과정으로 한 주 한 주 주제가 있고 실천가능하고 다양한 코칭 방법도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리 공감 - 우리가 나누지 못한 빨간 날 이야기
김보람 지음 / 행성B(행성비)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달에 한번 만나는 친구에 대해 새로 알게 된 기분! 난 아직도 너에 대해 알려면 멀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운이와 오복이 큰곰자리 37
김중미 지음, 한지선 그림 / 책읽는곰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불어 살아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의 공부방을 없애라 - 불편한 방 배치가 성적표를 바꾼다
모로쿠즈 마사야 지음, 장민주 옮김 / 아주좋은날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사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고, 그 안에서 정리하고 살려니, 가끔은 숨도 막히고 하고 싶은 대로

다 할 수 없으니, 체념하게도 되는 이 때, 이 책을 읽어볼까하고 눈이 간 책...

 

4살 된 딸아이의 친구 엄마들은 다섯 살이 되면 공부방을 다 만들어 주고 싶다고 하는 지금.

책의 제목은 그 생각과는 정반대. 그래서 눈이 더 갔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아이의 공부방을 만들어 줄 공간이 우리 집에는 지금은 없다고 생각하는 터라,

이 책의 제목이 구세주 같기도 하였다.

 

 

 책의 목차를 보니, 공부에 대한, 가족에 대한, 습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떻게 해라 하는 목차를 보니, 그대로 따라하면 뭔가 될 거 같은 느낌이 든다.

 '어디에서 공부하는 편이 좋은가'가 아니라

'어떤 환경에서 학습에 임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 개인공간에서 공부를 시키는 것은 역효과가 날 가능성이 높다.

 

공부방을 개인공간으로 만들지 않고 가족 공유의 학습공간을 정해서

거기에 책상을 놓고 가족 모두가 함께 공부할 수 있게 하면 좋다.

 

거실은 왠지 모르게 마음이 편하고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가족을 따뜻하게 이어주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우리 부모들은 누구나 완벽하지 않기에 아이의 부족한 부분을

자연스럽게 채워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현관 앞에 가족 개개인의 수납공간함을 만들어 놓은 생각지 못한 방법~

 넓은 창~은 아이들에게~이건 꼭 해주고 싶네.

 

 

내가 예전부터 생각했던 학습공간. 책에서 언급되니 더욱 하고 싶어졌다.

 

제목은 아이의 공부방을 없애라라서 아이의 성적이 오르는 우등생 만들기 비법같은 책이지 않을까 했는데,

아이의 학습, 인성, 가족들의 화합까지 총망라해서 다루고 수납, 공간배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책이었다.

 

좋은 곳 어디를 가도 집이 최고라는 진리는 역시 이 책에서도 느낄 수 있었다.

집에서 자고, 먹고, 보고라는 기본적인 생활부터 가족들과의 대화까지...집이라는 곳은 참 중요하고

그래서 더욱 신경써야 할 곳이었다.

 

그리고 부모로서 나부터 솔선수범해야겠구나

아이에게 정리해라 잔소리만 하지 말고 나부터 해야지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책이었다.

 

공부는 평생 하는 것이기에, 집안 곳곳이 다 공부가 되는 그런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의 9급 관원들 - 하찮으나 존엄한 너머의 역사책 6
김인호 지음 / 너머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려한 궁궐이나 상위 계층의 이야기가 아닌, 

말 그대로 하찮으나 존엄했던 조선의 9급 관원들.

평상시에 쉽게 접하기 힘들었던 그들의 존재를 만나게 되었다.

 

 

 

책의 '하잖으나 존엄한'처럼 저자도 '이 책에 등장하는 사건과 이야기는 조선왕조실록과

문집에 흔적이 있으나 오늘날 신문 사회면의 작은 기사처럼 전후 사방을 꿰지 않으면

없었던 것으로 간주할 만한 정도의 단신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신문 사회면의 작은 기사라는 표현이 기억에 남는다.

 

 

 

 

 

 

 책은 4개의 주제로 나누어져, 조선 관원들의 삶을 엿보고 있다.

4부 나는 백성이 아니옵니다에 나오는 사람들은 관원과는 좀 다르다고 생각되나,

책을 읽어보니, 상류층이 아닌 이상에 그들의 삶은 다 비슷하지 않나 싶었다.

 

 

 

드라마에서 궁궐사람이나 관리들이 지나갈 때, 앞에서 크게 소리를 내며,

행차를 알리는 사람들이 공노비인 구사라는 것과 법집행의 손과 발을 한 소유 등

조선 정부에서 없어서는 안 될 그러나 그들도 어차피 나라의 관리의 종이었던

사실을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일들-

자신이 모시는 사람이 잘못하면 대신 맞거나 갇히거나 등-을 보며

그들의 삶도 참 고달펐구나 생각했다.

 

 

 

 

 

호랑이는 잡는 '착호갑사'

시대의 상황을 알려주는 직업으로 보였는데, 지금처럼 제대로 된 무기가 없었던 그 때,

참 용맹한 일이 아니었나 싶었다.

 

 

 

 

 

'간첩'

지금도 우리 곁에 존재하는 단어라 눈에 띄었다.

전시와 국경 지역에서 활동한 간첩.

 

 

 

 

 

'맹인과 점쟁이'

지금도 그 분들의 삶은 쉽지 않으나,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을 터,

조선시대에도 전쟁이 나거나 흉년이어도 끝까지 거두려고 한 존재.

'이러한 사회적 배려가 현재에도 잘 이루어지도 있는지 반성해 보아야 할 대목이다'라는 저자의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9급 관원들을 읽으며, 조선시대의 의녀에 대해 알고 충격이었다.

내가 생각한 의녀는 고등 교육을 받고 나라에서

모두가 존경하는 그래도 유교사회의 조선에서

여자로서 제일 칭송받는 일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맞았으나, 관리의 첩이 되기도 하고,

왕도 기생정도로 생각한 일들을 보며

내 생각과 너무 반대였고, 그들의 삶이 안쓰러웠다.

 

 

조선시대에 사회면에 나왔을 일들과 함께

조선의 9급 관원들과 걸인들과 점쟁이들의 삶까지

쉽지 않았을 그들의 삶을 읽으며 참 안타까웠다.

물론 관원을 하면서 사리사욕을 채우는 일들도 종종 발견되었지만,

결국 다 상류층의 사리사욕이 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책에서 소개된 관원들의 이야기가 하나하나 끝날 때마다,

저자가 간단히 그리고 명료하게 정리한 글들은

한 번 더 그들의 삶을 생각해 보게 했다.

 

오늘의 9급 공무원과는 사뭇 다른 느낌을 갖게 했던 '조선의 9급 관원들'

그들이 있었기에 조선이 잘 돌아가지 않았나 싶다.

지금도 어디선가 동분서주하고 있는 그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