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 - 신, 물리학, 젠더 전쟁
마거릿 워트하임 지음, 최애리 옮김 / 신사책방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인류 최고의 물리학은 아직 오지 않았다.




예전부터 물리학에 여성이 참여했다면
어떤 미래가 그려졌을까?



궁금하지 않으세요?




과학이나 수학은 남자가 더 잘해.
당연하듯 아무렇지 않게 내뱉던 말들이 편견이었어요.




여자도 충분히 잘할 수 있는데
보이지 않는 울타리로 미리 막아놓은 것은 아니었을까요?




#물리학이_잃어버린_여성
#마거릿워트하임




처음부터 책의 제목이 이렇지는 않았어요.
책을 집필하는 동안 여러 번 바뀌었어요.





배경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물리학 책이 왜 없을까?

물리학이 여성이 참여하기 가장 어려운 분야였던가?

왜 물리학에서는 여성들의 활동이 그토록 미미한가?





집필하는 과정에서 생긴 의문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파고들어갑니다.




그리고 한 가지 사실을 알아냅니다.




과학사가들이 다룬 모든 시대에, 신과 종교의 문제가
계속 고개를 드는 것이 눈에 띄었던 것이다.
물리학은 항상 준 종교적 활동이었다.
적대적이라 믿었던 과학과 종교가 신학적 영감의 영향을 받아온 분야였다.




믿을 수 있으신가요?
(전 솔직히 놀랬어요.)




물리학자는 항상 일종의 사제였다.
내가 주장하는 바는 물리학과 종교 사이의
해묵은 유대가 우리 사회 안에서 여전히 여성에서 장벽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문화적 공명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여성을 배척하는 뿌리 깊은 문화 적응 패턴 자체를
문제 삼지 않는다면 물리학에서 여성 참여를 평등화할 수 없을 것이다.




과학과 종교는 반대된다 생각했는데
역사의 흐름에서 다시 본 과학은 종교와 함께란 사실을 책을 통해 알아갑니다.
과학, 문화, 예술, 역사.. 종교 - 어느 것 하나 따로 노는 것이 없는듯해요.





그리스도교적 세계상은 약 천 년 동안 이어졌으나
17세기부터는 신빙성을 잃기 시작했다.
우주 그 자체가 변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변한 것이다.


무엇 때문인가?


왜 새로운 방향으로 돌아섰는가?


수학에 기초한 과학이 종교를 대신하여
우리의 세계상의 원천이 되었는가?



그렇다고 여성의 물리학 참여는 높아졌는가?




이쯤 되니 최초의 여성 과학자가 궁금해집니다.
알렉산드리아의 <히파티아>
4세기 말에 살았던 역사상 유일한 최초의 여성 과학자.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아버지 테온의 계몽된 태도 덕분에 배울 수 있었다.
여성 혐오주의가 깊이 뿌리내린 시대에서 과학자로 살았던 그녀는 어땠을까?




마지막은 비참하게 끝이 났지만 그녀에 대한 짧은 기록은
여성 과학자들에게 힘이 될 것이라는 믿음이 생깁니다.





여성의 물리학 참여가 얼나마 중요한가!

여성 과학자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과학의 지배적인 분위기
및 그 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세포생물학자 린 마걸리스.
가이아 이론을 구축한 제임스 러블록.
이미 생물학에서는 새로운 시각이 가져다주었다.





저자는
물리학에서도 더 많은 여성들이 참여하게끔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 말한다.





단숨에 상한 뿌리를 뽑을 순 없지만
위로 올라오는 가지의 방향은 잡아줄 수 있다.
더 많은 물리학 여성 과학자들을 바라며
그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계몽이 시작되었다.
바로, 이 책을 통해!





우주님의 서평단 모집, 신사책방 출판사의 도서 지원으로 우주 서평단에서 함께 읽고 쓰는 리뷰입니다.




#물리학이잃어버린여성 #물리학 #마거릿워트하임 #신사책방 #우주서평단 #우주클럽 #과학과종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