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양 판타지 소녀 캐릭터 디자인
아카기 슌 지음, 이유민 옮김 / 잉크잼(잼스푼) / 2020년 11월
평점 :

이 책은 아시아권의 다양한 민족의상을 기본으로 해서 다양한 요소들을 접목시켜 새로운 동양 판타지 캐릭터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라고 말할 수 있을거 같네요.
그림을 그려본 사람들이라면 현실세계가 아닌 판타지 세계관을 가진 캐릭터의 의상이나 배경등을 그리려고 할 때 굉장히 막막한 생각이 든 경험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건 너무나 어려운 일입니다.
하늘아래 새로운 것이 없다란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나올 수 있는 건 다 나왔다라는 이야기이며 현대는 그 나온것을 어떻게 조합하고 반전을 줘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움을 느끼게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네요.
이 책의 목차를 살펴보면 5장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장 아시아 민족의상
아시아 각 나라의 민속의상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통의상인 한복을 제외하고 기모노(일본),치파오(중국),아오자이(베트남),사리(인도) 정도만 알고 있었고 나머지 나라의 다양한 전통의상은 이름조차도 모르고 있었네요. 각 나라의 전통의상이 이렇게 다양하다는 걸 책을 보면서 깨달았네요.아시아인이지만 아시아 다른 나라에 대해 너무 많이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2장 현대의상 X민속의상
현대의상과 민속의상을 조합한 의상 디자인입니다.
현대의상70%,민속의상 30%로 현대의상을 바탕으로 민속의상의 요소를 조합하거나 현대의상30%,민속의상 70%로 민속의상을 현대적으로 표현하는 2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 생활한복,철릭등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네요. 평소 철릭이 너무 예뻐서 입어보고 싶었지만 나이도 있고 안 어울려서 패스했지만 참 멋진 한복의 현대화인 거 같습니다.

3장 판타지X민속의상
판타지 요소(마녀, 천사,악마,강시 등)와 민속의상을 조합한 의상 디자인입니다.
4장 모티브X민속의상
모티브(매화,수국,달마인형,까마귀,해파리,금붕어)와 민속의상을 조합한 의상 디자인입니다.

5장 일러스트 제작과정
작가분의 책 표지 그리는 과정을 사진과 함께 글로 순서대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작가분의 그림이 세련됐고 채색또한 고급스러워서 제작과정이 궁금했는데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될거 같네요.
클립스튜디오를 사용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그리고 각장마다 아시아 민속의상의 형식,현대적인 소품 민속적으로 변형하기,배색에 따라 달라지는 느낌의 차이 등 알아두면 도움이 될만한 칼럼도 실려있으니 자세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 책을 받기 얼마전 중국은 조선족은 중국인이므로 우리나라 한복이 중국 옷이라는 망언을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의 아오자이도 중국 것이다란 말을 했지요.
한복이 명나라 한푸에 영향을 받은 옷이란 소리도 했는데 이 책에서도 한푸란 단어가 등장하지만 한푸는 중국에서도 2000년대에 등장한 단어입니다. 그리고 원나라때 고려의 고려양(고려옷)이 유행했고 원나라 다음 나라인 명나라 시대에도 한동안 유행이 계속됐으며 명나라 건국 후 100여년이 지난 홍치제 시기에 들어서야 원래 중국 풍습이 아니라는 이유로 금지되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무시하고 중국은 오만하게도 모든것이 중국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데, 지금도 우리나라 문화(BTS,블랙핑크, 영화 기생충)가 아시아를 비롯해서 많은 서양국가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문화를 중국이 저작권을 무시하고 무단도용을 하고 있죠.
이 한복 사건으로 인해 웹툰 작가들이 sns에 우리 한복을 알리기 위해 한복챌린지를 하기도 했습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라고 했습니다.
그림 그리는 많은 분들이 일러스트나 웹툰을 그리실때 한복(전통한복+퓨전한복)을 많이 그려주시면 어떨까 싶네요.
우리의 역사에 포함된 우리의 전통 옷인 한복을 지켜 나가는데 우리 모두 더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그렇게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