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푸트니크의 연인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의 소설을 좋아한다. 이상하게 에세이는 나와 잘 맞지 않는 듯한 느낌인데, 소설에 대한 끌림은 강한 편이다. 처음 본 <상실의 시대>가 강렬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고, <상실의 시대>를 읽은 시기가 20대 초반이었기 때문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왜 좋냐고 물으면, 딱히 할 말은 없다. 한 번 읽기 시작하면 쉽게 책을 내려놓지 못하겠다. 단순히 재밌다라고만 표현하기에는 부족한데, 그 느낌과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기도 쉽지 않다. 내 표현력의 한계를 절감한다.


  이 책은 제목 정도만 알고 있었다. 어떤 책을 재밌게 읽으면, 특히 소설 같은 경우에는, 작가의 전작들을 찾아 읽는 편은 아니다. 다만 신간들이 나오면 읽어보려고 하는 편이다. 이 책이 <상실의 시대> 전에 나왔는지, 후에 나왔는지는 모르겠다(찾아보니 후에 나왔다). 내가 <상실의 시대>를 읽은 것도 출간되고 한참이나 시간이 흐른 상태였기 때문이다. <상실의 시대>를 재밌게 읽었고, 4권이 나올 것만 같았던 <1Q84>를 재밌게 읽었고, 최근의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도 재밌게 읽었다. 중간 중간 달리기나 재즈, 클래식, 위스키에 관한 에세이들을 읽었고, 단편소설 <4월의 어느 맑은 아침에 100퍼센트의 여자를 만나는 것에 대하여> 등을 읽었다. 


  이 책은 양장 개정판으로 다시 출간이 되면서 구입을 하게 되었다(역시 새로 나와야 내 눈에 띄나 보다). 책 뒷표지에는 '무라카미 하루키 연애소설 3부작의 완결편'(여기서도 출판 순서를 알 수 있기 하다)이라는 문구가 있다. 정말로 작가가 그렇게 의도한 것인지, 출간 뒤에 사람들의 평을 카피로 옮겨놓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상실의 시대>가 연애소설이었구나', 하는 의문과 함께 '3부작을 다 봐야 하나', 하며 뭔가 묘한 반감같은 것이 생겨버렸다.


  우선 내용은 앞서 말한대로 책을 놓지 못하는 재미가 있다. 불완전하며 뭔가를 상실한듯한 주인공들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책의 카피가 묘한 감정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다. 왜 제목에 '스푸트니크'를 사용했는지, 왜 시작을 '크로니크 세계전사'의 '스푸트니크' 정의와 2호 안의 생물 '라이카'를 언급했는지 알 것 같았다. '안다'고 하기보다는 '공감'된다는 표현이 더 적절할 것 같다. 외로움. 주위에 수많은 타인들이 있으며, 그들과 어떻게든 연결이 되어 있지만, 스푸트니크 2호 안의 '라이카'처럼, 어딘가 고립된 곳에 혼자만 있는 듯한 외로움. 그 외로움을 간직한 3명의 이야기다.


  책 읽기가 중반을 지나 막바지에 다다르면서 한가지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처음엔 뭔가 현실적인데, 점점 더 비현실적으로 가는 이야기 방식. <1Q84>가 그렇고,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이 그랬고, <기사단장 죽이기>도 그랬다. 그러면서 아, 또 아무런 뚜렷한 결론 같은 이야기는 아니겠구나, 하는 생각. 그래서 좀 실망을 했달까. 아쉽다고 해야 할까. 재밌게 이야기를 끌고 가다가 뭔가 흐지부지 되고마는 느낌이다. 회사에서 뭔가 명확한 것들을 생각해야만 하는 요즘이라서 더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아쉬움은 있었지만, 그래도 하루키 소설은 하루키 소설이다. 다음에도 아마 뭔가 새로 나온다면 여전히 나는 구매버튼을 누르고, 책을 쉬이 놓지 못하며 읽고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