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잘 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 SNS부터 에세이까지 재미있고 공감 가는 글쓰기
이다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글을 잘 쓰고 싶은 마음을 누구나 갖고 있지 않을까 싶다. 나역시 마찬가지다. 글을 쓸 기회가 많지는 않지만, 글을 쓰는 일은 참 어려운 일인것 같다. 특히 남이 볼 글이라면 더더욱 마찬가지다. 책을 비롯해서 연구 논문이나 회의 자료 등 남이 쓴 글을 보는 경우가 있다. 가장 먼저 두가지로 분류가 된다. 잘 읽히는 글과 안 읽히는 글. 읽어도 도통 뭔 소리인지 모르는 글들을 볼 때의 그 답답함이란. 그런 글을 만날 때면 나도 글을 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들이 더 커지는 것 같다. 하지만, 이렇게 남기는 리뷰들을 비롯해서 정말 오랜시간 힘들게 쓴 논문들을 보면, 내가 쓴 글들 역시 남들이 읽을 때 잘 읽히지 않는 글일수도 있다. 내가 쓰는 지금까지의 글들은 남들에게 보여주기 용도는 아니다. 그저 개인적인 목적에 의한 글이다. 독서에 대한 느낌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리뷰를 작성하고 논문도 개인적인 궁금증을 해소하고 위한 용도일 뿐이다.


  이 책은 사 두고 잊고 있었다. 올 해 초에 장강명 작가님의 글쓰기 관련 책인 <책 한번 써봅시다>를 읽었다.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같은 분류의 책을 연달아 읽는 편도 아니고, 장강명 작가님의 책이 기대보다 크게 재밌지 않았기 때문에 이 책이 잊혀져 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언제가는 강원국님의 <대통령의 글쓰기>도 시도하려다 말았고, 글쓰기 책과는 조금 다를지도 모르지만 그 전에는 고경태님의 <굿바이, 편집장>도 읽었다. 모두 글쓰기를 좀 더 잘 해 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였다. 책을 읽고 나서 조금은 글쓰는 능력이 향상되었는지는 모르겠다. 뭔가 배워서 잘 쓸 수 있는 능력은 한계치가 있는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어느 정도의 독서 임계치를 넘어 선다던가, 아니면 뭔가 한계를 넘어설 수 있게 해주는 깨달음 같은 거? 모르겠다. 여전히 내 글쓰기는 정체된 느낌이다.


  이 책은 <씨네21> 편집장인 저자의 글쓰기 방법론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선 상당한 독서량이 글에서 느껴진다. 다양한 분야의 많은 책들을 읽고 있는 듯 하다. 또한 직업에서 알 수 있듯이 남들의 글을 수정하기도 한다. 가끔 회사에서 회의자료가 편집팀의 수정을 거칠 때가 있다. 나의 글이 누군가에 의해 고쳐진다기 보다는 편집팀 선생님들이 글에 대한 의견을 전달해 주신다. 오탈자는 물론 의미 파악이 모호한 부분에서의 적확한 표현법들을 알려주시곤 하는데 감동받을 때도 있다. 남의 글을 고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자기가 글을 쓰는 것보다 더 힘든 일일 것이다. 저자는 그 힘든 일을 하는 사람이다. 글쓰기 방법론에서 전문성이 느껴지고 의미 전달이 내 마음에 와 닿았던 이유이다.


  저자는 글쓰기에 대해서 단계별로 설명을 하고 있다. 먼저 글을 쓰고 싶은 마음만 있는 사람들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쓰는 일을 시작하라고 독려한다. 무엇을 써야할지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서 글 쓰기를 유도하고 쓰는 방법들을 알려준다. 글을 쓰고 나서 꼭 해야 하는 '퇴고'를 강조하고 그 방법도 설명한다. 단계별로 진행되는 이야기들을 구체적이면서도 그 설명을 저자가 읽었던 책이나 영화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어, 이해가 쉽고 명쾌하다.


  글쓰기를 시작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미 글은 쓰고 있다. 쓰고 있는 글을 더 잘 쓰고 싶었을 뿐이다. 그런데 내 글쓰기는 거의 나만 보는 글이기에 내 글쓰기에 피드백은 알 수 없다. 위치나 수준에 대한 평가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쓰면 쓸수록 나아지는 것인가. 영어 공부와 비교해 보면, 말하기, 듣기, 읽기는 투자 대비 성과가 나온다고 들었다. 하지만 쓰기는 또 다른 영역이다. 우리말 역시 마찬가지 아닐까. 말을 잘 한다고 글을 잘 쓰는 것도 아니고, 그 역도 참이 아니다. 글을 쓰는 영역은 다른 영역인듯 하다. 그렇다면 배워나갈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이 책에서도 많이 배웠으니, 앞으로 조금은 나아졌으면 좋겠다.

같은 독신이라 해도, 중년의 남성은 보통 "선생님"이라는 호칭을 듣는다. 여성을 부를 땐 어머니, 사모님 같은 ‘관계성‘ 안의 호칭만을 듣는 것. 같은 독신에 대한 글 같아도 여성까리 주고받을 이야기가 더 있을 수밖에 없다. - P79

사람이 태어나고 죽는 것 사이에 삶이 있고, 그 가운데의 모든 것이 우리 모두를 각기 다르게 만든다. 생사로만 말해지지 않는 개별의 삶과 고통이 있다. - P152

상처에 대해 쓸 수 있다는 말은 상처를 잊었다는 뜻이 아니라 상처와 함께 사는 법을 아는 사람이 되었다는 뜻이다. - P1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