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정치철학사 - 세계사를 대표하는 철학자 30인과 함께하는 철학의 첫걸음
그레임 개러드.제임스 버나드 머피 지음, 김세정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 서적이라고 해나 하나. 철학에 대한 도서들을 좋아한다. 분명 무슨 말인지 모르는 내용들의 책들도 있었지만, 재미있는 책들도 많이 있었다. 정치철학과 관련된 철학책은 처음이었다. 선택에 다소 망설임이 없진 않았지만, 그래도 읽어 보고 싶은 마음이 컸다. '처음 읽는'으로 시작하는 제목이 망설임을 다소 줄여주는 몫을 했다. 내용이 겁먹었던 것보다는 어렵지 않았지만, 기대했던 것 보다는 다소 무난한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내용은 부제에 나와 있는 것처럼, '세계사를 대표하는 철학자 30인'의 이야기가 시대별로 담겨 있다. 누구나 이름은 알고 있을, 고대의 철학자들부터 중세, 근대를 지나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자들과 그들의 철학을 들려준다. 그래서 좀 무난하게 다가온 것인지도 모르겠다. 제목인, '처음 읽는'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책은 초보라고 해야 하나, 철학은 잘 모르지만, 철학에 대해서 궁금한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철학이 심오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을 담고 있어서는 안될 책이다. 소개되는 철학자의 생애나 일화로 시작해서, 그 사람의 철학을 풀어서 설명하고, 현재에서의 그 사상 갖고 있는 의미를 짚어보는 순서이다.


  내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 중의 하나는 제목이다. 제목에서 특히 기대를 했던 단어는 '정치철학'이었다. 나 역시 철학을 잘 모르는 초보로써, 철학과 정치철학의 차이를 아는 것은 아니지만, 두 단어가 동의어는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철학사를 다룬 책들과 조금은 차별적인 것들이 반영되었더라면 더 재미있게 읽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정치철학이 정치학의 한 분과로서, 철학적인 차원에서 논의 분야라고 위키백과에서 보았다. 그런만큼 정치학 측면에서 더 깊이있게 다루어 졌더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 남는다. 비슷한 측면에서, 소개되는 30명의 철학자들이 모두 훌륭한 사상가들이지만, 조금 수를 줄이고 철학자들의 사상에 대한 설명과 현실에서의 현대적 의미 부분들에 더 집중했더라면, 나와 같은 철학 초보자들이 더 재미있게 읽었을 것 같다.


  모든 책들이 100% 다 만족을 줄 수는 없을 것이다. 독자는 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다양한 독자들이 존재하니 말이다. 몇몇 아쉬움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철학을 잘 모르지만, 철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유용하고 좋은 서적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