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삼성전자 시나리오
김용원 지음 / 세이코리아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30 삼성전자 시나리오 』


✒️김용원(지은이)

「비즈니스포스트」 글로벌경제팀 차장 뉴욕대학교(NYU)에서 미디어문화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경제경영 분석 전문 언론사인 「비즈니스포스트」에서 삼성, LG, SK그룹을 출입하며 반도체와 전자산업 전문기자로 활동해왔다. 산업부 차장을 거쳐 현재는 글로벌경제팀에서 해외 시장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과 반도체, 전기차, IT 분야의 글로벌 기업에 대한 다양한 분석 기사를 쓰고 있다. 또한 주요 국가의 경제, 정치 정책 변화와 거시경제 흐름을 분석해 개별 산업군과 기업이 받는 영향과 대응 전략을 파악하고 미래 를 전망하는 작업을 해왔다. 『2030 삼성전자 시나리오』는 10여 년 동안 삼성을 취재하며 분석한 정보를 급변하는 글로벌 정치, 경제 상황에 대입해 삼성전자가 생존을 위해 취해야 할 관점과 전략을 제시한 책이다.


🔖P243. 우리나라 정부가 반도체 강국의 지위를 유지하려면 산업 정책이나 외교적 측면에서 꾸준한 지원 방안을 찾아내고 이를 적극적으로실행해야 한다. 미국과 중국, 대만과 일본 정부가 모두 자국 기업을 밀어 주기 위한 정책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정부와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P314. 삼성전자가 오너 경영이 아닌 주요 글로벌 기업과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 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선언한 것으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이재용 회장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한 청문회에서도 "더 훌륭한 전문경영인이 있다면 언제든 경영권을 넘길수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경영 능력을 인정받겠다는 다짐과 함께 삼성전자가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기업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두고 준비하겠다는 의미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19년'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이라는 표제 아래 제시한 성장 전략은 실패로 끝났다. 십여년 동안 노력했지만 결국 TSMC와 인텔(Intel Corporation), 애플(Apple Inc.)등 경쟁사의 장벽을 넘지못한다 현재로선 미래 성장을 이끌어갈 뚜렷한 성장동력도 확인 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로 시작한다. 현재 삼성전자의 국내 해외에서의 반도체, 디스플레이,모바일등 여러 분야에서의 입지와 라이벌 기업과 국가간의 정책을 알아보고 삼성전자의 미래를 예측 하고 현위치의 파악할수 있는 책이다.

📖펴낸곳 ㅣ SAY KOREA

,김용원 ,책 ,2030삼성전자시나리오 ,세이코리아 ,경제경영 ,삼성전자 ,삼성전자주가 ,주식 ,기업전망 ,투자 ,재테크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