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그루 나무를 심으면 천 개의 복이 온다 - 유엔 ‘환경노벨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기후 위기 시대의 해법
오기출 지음 / 사우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그루 나무를 심으면 천 개의 복이 온다

유엔 ‘환경노벨상’ 수상자가 들려주는 기후 위기 시대의 해법


✒️저자 : 오기출
1980년대 민주화의 열망이 뜨겁던 시절,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어머니가 원하던 대기업이 아니라 민주화 운동을 선택, 30대 중반까지 민청련, 민통련, 전민련 정책실에서 활동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정치 지형이 변하면서 인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치열하게 고민했다. 그 결과 기후 변화 문제가 가장 중대한 현안임을 깨닫고 시민단체‘푸른아시아’를 설립했다. 기후 위기에 공감하는 사람이 거의 없던 시절부터 지금까지 20여 년간 푸른아시아 사무총장으로서 기후 변화 현장에서 꿋꿋하고 뚝심 있게 헌신하고 있다.
2014년 푸른아시아는 환경 분야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생명의 토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기후 변화 피해가 극심하게 나타난 몽골에 나무를 심고 생태계와 마을 공동체를 회복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
2000년 저자가 몽골을 처음 찾았을 때 몽골은 이미 드넓은 초원이 펼쳐진 땅이 아니라 모래바람이 휘몰아치는 황량한 모래땅으로 변해 있었다. 초원이 사막화되면서 목축을 하던 유목민들은 고향을 떠나 낯선 도시에서 환경 난민으로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있었다. 땅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삶이 파괴되어 가는 현장을 눈으로 확인하고, 이곳을 ‘살림’의 현장으로 바꾸겠다는 꿈을 꾸기 시작했다.
유목민들이 떠난 그 땅에서 저자와 푸른아시아 활동가들은 아직 남아 있던 주민들과 함께 나무를 심으며 숲을 가꾸어 갔다. 그렇게 한 그루씩 심어 가꾼 나무가 숲이 되고, 차츰 생태계가 되살아났다. 마을을 뒤덮던 모래먼지가 사라지고, 고향을 떠났던 주민들이 돌아오면서 마을공동체가 회복되는 기적이 일어났다. 그 결과 1만 4,000여 명의 피해 주민들이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
유엔은 기후 변화와 사막화로 고통 받고 있는 160개 나라에 푸른아시아 모델을 대안으로 권고하고 있다. 또한 많은 국가가 기후 변화 대응과 빈곤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푸른아시아의 공동체 모델을 배우고 싶어 한다. 2013년부터는 기후변화와 건조화로 피해를 입고 있는 미얀마 중부 건조지역에 지부를 설립,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_ 타미르 남매 구하기
📓 1장 뜨거워지는 지구, 밥상이 달라지고 있다


1) 여기 우리 집은 안전한가
거대한 호수가 갑자기 사라진 사건/가뭄과 폭우의 이중고/슈퍼태풍 시나리오는 현실화 될까?/생태찌개가 귀해진 이유
2) 기후 문제는 국경이 따로 없다
미세먼지, 생각보다 치명적이다/황사에 대한 오래된 오해/황사, 누구의 책임인가/환경 국장을 고소합니다
3) 기후 변화의 경고, 사막화
역사에 없던 재앙의 시작/잔인한 내전은 가뭄에서 시작되었다/난민 아닌 난민, 환경 난 민의 등장
4) 지구가 계속 뜨거워지면
기온이 2도 오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티핑포인트는 이미 지났는가/시간이 별로 없다
5) 여섯 번째 대멸종이 시작됐다
‘설마 그렇다고 지구가 멸망하겠어?’/6·25전쟁과 기후변화의 닮은 점/무엇이 변화를 가 로막고 있는가
📔2장 모든 문제 뒤에는 기후 변화가 있다


1) 수단 내전의 진짜 원인
남과 북, 다정하던 그들은 왜 갑자기 원수가 되었나/NGO 활동가들의 뼈아픈 오판/무기 말고 씨앗을 주시오
2) 인류의 밥그릇에 폭풍이 일다
30년 후 100억 세계인은 무얼 먹고 살까?/가난한 나라의 농지를 빼앗는 거대기업/사막화, 내전, 테러 배후지가 동일한 이유/아시아, 아프리카를 닮아가고 있다
3) 기후 변화는 왜 약자에게 더 가혹한가
그 나무엔 왜 사람의 열매가 매달려 있을까/부자 나라에도 환경 난민이 있다/도시 빈민에서 환경 난민으로, 극빈자의 끝없는 추락
4) 경제 성장은 어떻게 빈곤층을 더 가난하게 만들었나
절대빈곤이 개선되었다고?/미얀마의 숲과 정글이 사라지면서 생긴 일/빈곤 문제, 결국은 기후 문제
5) 긴급구호, 누구를 위한 활동인가
굶주린 소녀와 독수리, 그 사진의 선정성을 성찰해야 할 때/더 많이, 더 참신하게: 재난 마케팅의 함정/잘못된 구호활동이 또 다른 난민을 만든다/‘선한’ 의도가 반드시 ‘좋은’ 결과를 낳지는 않는다/재해 현장이 복구되어도 주민들의 삶이 더 나빠진다면
📒3장 새로운 전쟁이 시작됐다
1) 당신의 쇼핑이 몽골 유목민에게 미치는 영향
우아한 캐시미어 코트에 숨겨진 눈물/염소가 무슨 잘못을 했기에?/초원이 사라진 몽골, 누구의 책임인가
2) 기후 변화의 대가, 누가 지불해야 하는가?
남태평양 섬나라의 슬픈 운명/선진국의 지원은 선행이 아니라 의무
3) 세계는 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주목하는가
무역과 경제전의 새로운 키워드, 기후 변화/미국과 중국이 적극적으로 나선 이유/사양 산업을 살리는 방법/지금은 새로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앞으로 공짜 탄소는 없다/탄소세로 달라지는 것
4) 기업을 믿어도 될까
전기자동차를 타면 다 해결된다고?/빌 게이츠는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기술에 대한 환상/발 빠르게 움직이는 기업의 속내


📕4장 마을이 지구를 살린다
1) 지구상에 하나밖에 없는 마을 모델의 탄생
에볼라를 퇴치한 작은 마을의 기적/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백신’을 발견하다
2) 나무를 심어 세상을 구하는 방법
나무만 심어서는 안 된다/나무는 사람의 발자국 소리를 좋아한다
3) 마을이 살아나고, 환경 난민이 돌아오다
감자 한 알의 약속/마을 공동체는 나무와 함께 성장 중/난민에서 마을의 주인으로
4) 마을의 힘은 위대하다
커뮤니티의 재발견/몽골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 비결/지구를 지키는 석관동 두산아파트/커뮤니티 간의 연결망이 시급하다/소비자여, 단결하라
에필로그 우리 모두가 나무를 열 그루씩 심는다면
제 왜 낯선 땅 몽골에서 숲을 가꿀까_ 박경화

p52. 기온이 2도 상승한 지구는 어떻게 될까? 신업화 이후 현재까지 1도 상승했는데도 지구는 온난화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2도 상승은 이미 우리 코앞에 닥쳤다.아마 생각치도못한 끔찍한 일들이 벌어질 것이다.
p102. 지금은가장 힘없는 사람들이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를 가장많이 입지만, 기후변화가 더 심해지면 피해를 입는 계층은 더 넓어질수 밖에없다.이대로 계속 지구 온도가 상승하고사막화가 진행된다면 다수의 사람들이 기본적인권리마저 보장받지 못하는 날이 오리라는것은 분명하다.
p178. 세계는 이미 온실가스아의 전쟁에돌입했다.온실가스감축은 모든아라가 공동으로풀어야 할 숙제다.
p208. 온실가스의 주범인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가장강력하고 확실한 방법은나무를 심는것이다.특히맹렬하게 성장해야 하는 어린숲일수록왕성하게 탄소를 흡수한다.


📖출판사 :사우
도서출판 사우는 스승이자 벗이 되는 책을 만듭니다
https://www.facebook.com/%EB%8F%84%EC%84%9C%EC%B6%9C%ED%8C%90-%EC%82%AC%EC%9A%B0-698383477032892


,한그루나무를심으면천개의복이온다 ,오기출 ,자연보호 ,푸른아시아 ,환경문제 ,배움 ,사우 ,환경의날 ,환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