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미중 관계 - 전략적 보장과 각오
제임스 스타인버그.마이클 오핸런 지음, 박영준 옮김 / 아산정책연구원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 미중관계
-전략적 보장과 각오
U.S - China Relatio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Strategic Reassurance and Resolve


✒️저자 : 제임스 스타인버그
저자 제임스 스타인버그 JAMES STEINBERGㄴ는 현재 시라큐스대학교 맥스웰 스쿨의 학장이자 사회과학, 국제관계 및 법을 가르치는 교수다. 또한 2009년 1월부터 2년여간 오바마 1기 행정부의 국무부 제1부장관을 지냈다. 2005~2008년에는 텍사스대학(오스틴 캠퍼스) 린든 B. 존슨 공공정책대학원의 학장으로 재직했다. 2001~2005년에는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에서 부소장이자 연구 책임자로서 미국의 외교정책 연구를 총괄했다. 1996~2000년까지는 클린턴 행정부의 국가안보 부보좌관이었다. 스타인버그는 이 책 외에도 커트 캠벨(Kurt Campbell)과 《Difficult Transitions: Foreign Policy Troubles at the Outset of Presidential Power》(2008)를 저술했다

✒️저자 : 마이클 오핸런
저자 마이클 오핸런 MICHAEL E. O’HANLON은 미 브루킹스연구소에서 국가 안보정책을 연구하는 선임연구원이다. 프린스턴대학교의 객원교수이자 국제전략연구소(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와 미국외교협회(Council of Foreign Relations)의 회원이다. 브루킹스연구소에서 일하기 전에는 미국 의회 예산국(Congressional Budget Office)에서 국가 안보 분석가로 일했다. 그의 최근 저서로는 《The Science of War: Defense Budgeting, Military Technology, Logistics, and Combat Outcomes》(2013)가 있다.
📝역자 : 박영준
영어학자/영문학자 경영학자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후 외국계 및 국내 기업에서 재직했다. 현재 바른번역 소속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역서에는 《컨버전스 2030》, 《중국 세계로 가다》, 《애널리틱스》, 《자전거의 즐거움》, 《21세기 미중관계》, 《최고의 리더는 사람에 집중한다》, 《훌륭한 관리자의 평범한 습관들》, 《신뢰의 힘》, 《심플, 강력한 승리의 전략》 등이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말
서문


📓1장. 들어가는 말
📚 1부. 우려의 원인
📔2장. 갈등의 근원
📒3장. 중국의 전략 결정 요인
📕4장. 미국의 전략 결정 요인


📚 2부. 전략적 보장의실제
📗5장. 군비 지출과 군사 현대화
📘6장. 군사적 긴급 사태: 위기의 안정화
📙7장. 전략적 영역: 핵, 우주, 사이버
📒8장. 기지, 배치, 작전


📕9장. 맺는말
부록
주석
찾아보기


p51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영토분쟁을 강화하고,이에 따른 군사 활동을 지속하는 행위가 다른국가의 도발에 대한 정당한 대응이라고 주장한다.그러나 미국에는 팽창주의자나 수정주의자의 야심으로 보일뿐이다.
p60 원래 화평굴기(和平崛起:평화롭게 국제 사회의 강대구으로 부상한다)라고 명명됐던 전략은 '평화적 발전'이라는 단어로 수정 됐다.
p121 미국의 미래적략은자국 내부의 요인뿐만아니라 중국정부가 구내정치,경제,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안보 영역에서 어떤 정책적선택을하는가에 의해 크게 영향을받을것으로 예상한다.
p178 자국이 양보할수 없는 '레드라인'이나 적어도 '레드존(red zone)' 을 명확히 설정해야 하며,특히 상대방이자발적으로 자제를 실행했을때 자국이어떻게 상호덕 자제를 실현할수 있는지를 명시 하는 일도 중요하다.
p220 뜻하지않은 군사적 충돌로 인해 미국과 중국의 군대가 부딪힐지 모르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그원인이 의도적이었든, 우연이었든 간에 이일이 확대됐을때 의 위험을 이해해야 하며 미국의 긴급사태 계획에 입각해서 대응해야 한다.
p253 군사적 영역을 넘어 우주 공간에서의 국제적 협조를 통해 미국,중국,그리고 중국의 주변국같은 핵심 참여자들 간에 긍정적 상호 작용을 촉진시킬수있다.
p292 양국은 상대방의 행위가 명백하게 적대적의도를바탕으로 한다는반면,자국의 할동은 국가적안보에 핵심적이라고 판단한다.
📖출판사:아산정책연구원
https://www.asaninst.org/
The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https://www.youtube.com/user/asaninst/featured
https://www.flickr.com/photos/asaninstitute/sets/
https://twitter.com/asaninst
https://www.facebook.com/TheAsanInstitute
,The_Asan_Institute ,아산정책연구원 ,21세기_미중관계 ,미중관계 ,전략적 ,US_Chin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