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뱀과 양배추가 있는 풍경
강보라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5월
평점 :
멋은 여유에서 온다는 걸 때때로 느끼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도 그랬다.
인생이라는 위태로운 묘기에 대해 이 작가는 이미 많이 알고 있다.
다양한 인물과 상황을 접하며 그 자리에서 무수한 감정을 느꼈으리라 짐작된다.
불편함, 소외감, 괴리감, 위협감, 우월감, 안도감, 서운함, 상실감, 동질감, 애틋함, 포용감...
책을 읽으면서 떠오른 마음만 해도 이렇게나 많다.
이 많은 것들을 이미 깊이 알고 있는 자의 여유가 책의 곳곳에 묻어난다.
그런 여유가 어떻게 드러나냐고?
일단은 해석하지 않아도 다 느낄 수 있게끔 쓰여 있다는 점에서 느껴졌다.
어느 영역에 통달한 사람이 굳이 어려운 말을 쓰지 않고도 핵심을 쏙쏙 알려주듯이,
일상의 작은 사건만으로도 복잡한 심리와 갈등을 읽어낼 수 있었고, 그게 재미있었다.
(그리고 그건 단편 문학의 최고 묘미겠지.)
게다가 이 소설집은 곳곳에 웃음 포인트를 담고 있다. 세련된 유머다.
멋을 잃지 않고 웃기는 데 얼마나 많은 공력이 드는가. 시도해본 사람은 알 것이다.
이 소설들은 누군가의 감정의 싹틈을 그릴 때, 그와 동시에 또다른 누군가의 안에서 발생하는 반대급부 또한 염두에 둔다.
내가 뭔가를 느끼면 내 앞의 상대방도 뭔가를 느낀다는 관계의 공식, 혹은 인간사회의 진리가 작가의 머릿속에 흔들림 없이 펼쳐져 있달까.
그것은 소설 안에서 때로는 먹이사슬 속 육식동물과 초식동물처럼 잔인한 구도로, 때로는 서로 보듬어 공생하는 생물들의 미더운 구도로 그려진다.
작품마다 설정된 중심 화자가 그 구도 중 한 편을 맡지만, 소설이 오롯의 화자의 입으로만 쓰이는 기분은 들지 않았다.
작가의 객관적인 시선이 결국엔 소설에 드러나는 모든 입장을 이해하게 만들었다.
이 흔들림 없는, 객관적이고 어떨 땐 냉철하게도 느껴지는 넓은 시야. 여기에서 이 작가가 지닌 멋을 느꼈던 것 같다.
작가는 어떤 시간을 지나왔기에 이런 깊은 시선을 지니게 되었을까.
그는 '신인 소설가'로서 자신이 한차례 지나온 길을, 아직 그 길을 지나는 중인 인물들을 통해 그려나간다.
나는 그 길을 얼마쯤 지나왔는지. 독자로서 이 작가가 소설로 내는 길을 계속 밟아나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