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이 가는 길
조이 지음 / 조명미디어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옛날 이야기에 보면, 도깨비들은 어린아이들에게만 보인다는 말이있다.
어른들은 인식하지 못하지만, 아직 세상의 때가 뭍지 않은 어린이들에겐
도깨비도, 집에사는 수호신 같은 것들도, 눈에 보이고, 친구도 한다고들 한다.
이 소설은 나의 어린시절을 떠올리게 해주었다.
어린시절 유에프오 같은 물체를 봤던, 태양열 지붕집으로 이사를 간 아이에게서 시작되는
성장소설이기에 당연히 그럴것이고,
귀신에 홀리고, 살인이 일어나고, 알수없는 사고로 사람이 죽는무섭고 음산한 집도 나오고,
결정적인 신비한 아이도 나오고, 또 멀리서 바라보기로 시작된 첫사랑도 나온다.
시작부터 몽환적인 신비감과 공포감을 함께 가지고 소설은 시작된다.
이 소설의 매력이면서, 단점이긴 하지만 말이다.
어린시절에 누굴을 만나 어떤 관계를 형성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나완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드는 사람의 말한마디로,
내 자신이 어떤 행동과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나의 미래는 달라질수도 있다는 생각..
강빛에겐 범이라는 친구가 정말 소중하고, 강빛의 미래에도 범이는 중요하다.
'소년아! 네가 해야 할 일도 그때 알게 될 거야.'
과거의 누군가가 미래의 나에게 해주는 말..
성장소설적인 관점과 우정에 관한 이야기가 나를 한동한 기분좋은 멍함을 선사해 주었다.
책은 누가 어떤 상태에서 읽느냐에 따라 받아들여지는 결과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하는 말이긴 하지만, 이 소설은 복잡할것이 없는 것을 복잡하게 만들려고 노력한듯,
뭔가 알수없는 산만함이 계속해서 집중력을 떨어뜨린다.
내가 좋아하는 소설류는 정서적인 것보다는 진행이 빠르고,
빨리 빨리 전개되어지는 소설을 좋아해서 그럴지도 모르지만,
사실 정신없고, 힘들게 읽었다.
아마도 판타지도 이런 SF와 공포가 결합되어진 소설은 처음 접해서
나의 뇌의 혼란스러운이 짜증을 냈을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난 100% 소설 자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작가의 욕심이 였는지, 삐딱한 나의 뇌구조때문인지는 받아들이는 독자의
판단에 달려있지만 말이다.
소설 한권을 읽고, 멀리 보이는 빛을 보며, 과거를 회상해본것만으로 만족한 하루를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