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스마트폰이라는 변수가 등장했지만, 아직 우리는 매스미디어의 시대에 살고 있다.

TV나 라디오를 통해 세상의 정보들을 접하고, 때로는 울고 웃는다.

매스미디어의 영향이 큰 만큼 매스미디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의 영향도 크다.

당연히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최일선에 서 있는 프로듀서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이다.

서론이 길었다. 요즘 잘 나가는 PD 2명의 책을 읽었다는 얘기를 하려고 그랬다.

 

김진혁과 이재익.

TV와 라디오라는 매체가 가장 큰 차이겠다.

하지만 비슷한 점도 많다.

일단 둘 다 준수한 외모의 소유자이고, 90년대에 대학을 다니면서 대중문화의 세례를 받았다.

대중을 상대로 하는 만큼 프로그램의 가장 큰 미덕은 의미나 가치보다는 재미라고 생각하는 점도 닮았다.

 

 

 p34. 어떻게 해서든 아이디어를 결과물로 만드는 힘, 근성과 노력이 아이디어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하다. ... 천재들의 방식은 직관에 의존하는데, 직관이란 날뛰는 망아지와 같아서 그 힘은 무시무시하나 그 힘만으로 트랙을 끝까지 완주하기는 어렵다.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다. 학창 시절에 자주 들은 말도 떠오른다. 공부는 머리로 하는 게 아니라 엉덩이로 하는 거라는... 어려운 말은 아니지만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말도 아니다. 프로는 결과로 말한다. 며칠 밤을 새우며 머리를 쥐어뜯고 코피를 쏟았던 무용담은 퇴근하고 술자리에서 이야기하고... 중요한 것은 아침에 누가 더 빛나는 결과물을 꺼내놓느냐다. 곱씹을수록 무서운 말이다.

 

 

 

 

 

 p32. 그저 단순한 사실만을 말하고 그 사실이 내포한 메시지는 시청자 스스로 찾고 해석하도록 한다.

 

 p149. 어떤 대상을 꾸짖을 때 이는 제작진이 꾸짖는 것이 아니라 언론이 꾸짖는 것이며, 다시 말해 언론에 비판의 기능을 일임한 국민들이 꾸짖는 것이다. 그래서 언론인에게는 직접 꾸짖는 역할이 아니라, 국민의 꾸짖음을 '전달'해주는 역할만 있다.

 

p178. 시청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프레임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의 프레임을 다른 각도에서 생각할 여지를 주는 것이다. 그럴 경우 시청자는 최소한 한 가지 잘못된 프레임만으로 사실을 접할 때보다 훨씬 더 유연하게 사고할 수 있다.

 

- 김진혁은 EBS를 떠나 한예종 영상원 교수로 부임한다. 우리 언론에 표현의 제약이 상존함을 또다시 확인한다. 다큐 제작 PD를 갑자기 수학교육팀에 보내다니... 왠지 창조적이다. 요즘 유행하는 통섭을 노렸을 것이다, 물론. 방송 현장에서 떠나는 것이 아쉽지만, 사는 대로 생각하기를 거부하고 생각하는 대로 살기로 한 결정이라면 기꺼이 격려하고 싶다.

 

 

 새로운 재미와 새로운 관점. 둘 다 우리에게는 꼭 필요하다. 개인적으로는 이재익보다는 김진혁의 프로그램을 더 좋아하지만... 그래서 너무 티는 안 낼 생각이다. 그래도 얼굴에 다 써 있겠지만 얼굴 보는 사람이 별로 없으므로 괜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과 경제력', 또는 '예술과 물질적 풍요' 같은 제목도 생각해봤지만

'예술과 돈'만큼의 진실성을 느낄 수 없다.

 

예술이 창의력과 자유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창작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예술과 돈의 관계는 필연적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어도 매우 밀접하다고 할 수 있겠다.

시대는 다르지만 개성 있는 삶을 살다간 윤선도와 이중섭을 통해 예술과 돈의 관계를 생각해본다.

 

윤선도는 가문의 재산으로 평생 풍족한 삶을 살았다.

보길도 전체를 자신의 정원으로 꾸밀 만큼 유배지에서도 경제적인 걱정은 없었다.

하고 싶은 말은 꼭 해야 하는 대찬 성격 때문에

공직에 나선 이후 대부분의 시간을 유배지에서 보냈건만

끝까지 소신을 굽히지 않고 다양한 작품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에

경제력을 무시할 수 없다.

 

반면에 이중섭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의 격변기 속에서

그토록 사랑하는 아내와 두 아들과 함께할 집 한 칸 마련하기도 어려웠다.

가족에 대한 애타는 그리움이 그의 작품 속에 오롯이 담겨

우리는 감동적인 작품들을 접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다 건너 가족들을 만나기 위해 소신을 접고 전시회도 열면서

어떻게든 돈을 모으려던 이중섭은 동료에게 사기를 당하고

그림값을 제때 받지도 못하면서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다.

 

양 극단의 예술가를 보면서

결국 예술은 예술가의 삶과 환경의 영향 아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이중섭이 좀더 경제적으로 여유로워서

가족과 행복하게 생활하며 작품 활동에 전념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가정은 떨쳐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