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냥년 - 역사소설 병자호란
유하령 지음 / 푸른역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유하령은 <병자호란>의 저자 한명기 교수의 아내이고, <화냥년>은 저자의 첫 번째 저서이다.

왠지 남편의 도움을 많이 받았으리라 짐작되는데, 저자는 일종의 팩션이라 할 소설에서

한명기 교수가 펴낸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를 역사적 고증의 기준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선후 관계가 어떠한지는 몰라도 부부가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

한 사람은 학술적으로, 한 사람은 문학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이 책의 제목은 <화냥년>이다. 치욕적인 항복으로 막을 내린 병자호란의 전리품으로

머나먼 청나라에 포로로 끌려갔다가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아 조선에 돌아온 여성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지금까지는 화냥년의 어원을 포로로 끌려갔다가 고향에 돌아왔다는 뜻으로 환향녀(還鄕女)에서 찾았다.

하지만 저자는 '환향녀'라는 표현을 사료에서 찾을 수 없다는 점을 들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란을 거치면서 '몸 파는 여자'라는 뜻의 중국어 '화냥[花娘]'이 들어와

정조를 잃은 여성들을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을 것이라 주장한다.

 

지금은, 그 실효성을 차치하더라도 전쟁 포로의 인권을 보호하는 제네바 협약이 존재한다.

하지만 병자호란 당시에는 포로를 잡아간 적군 개인의 선의에 의존해야 했고,

상당수의 여성이 성적 착취와 학대에 시달렸을 것이 자명하다.

대외 정세를 오판하여 전란을 초래한 데다 도성을 버리고 백성보다 먼저 피난길에 오른 선조와 인조를 비롯한

당대 지도층의 무능이 한 가정의 아내이자 어머니였던 여성들을 씻을 수 없는 치욕에 빠뜨린 것이다.

그럼에도 몸이 더럽혀졌다는 구실로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넘기고 돌아온 그들을 내치거나

주위의 눈에 띄지 않는 뒷방으로 유폐하는 것도 모자라 가문의 명예를 위해 자진할 것을 강요하기도 하였다.

400년 전의 과거일로 묻어버리기에 너무나 부끄러운 모습이다.

아직도 우리에게 전쟁은 현재진행형이기에 오늘의 관점에서도 경각심을 가질 이유가 충분하다.

 

아무래도 정식 등단 절차를 거치지 않고 첫 번째 소설을 낸 것이라 그런지 아쉬운 점은 있다.

흡인력 있는 소재와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긴장의 밀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인물의 목소리가 일관되지 못하거나 다른 인물과 구별되지 않아서

가끔씩 몰입하기 힘들 때가 있었던 점이 아쉽다.

하지만 시작이 반. 400쪽에 가까운, 꽤 두꺼운 장편소설을 펴낸 공력이라면

기술적인 기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계속해서 역사소설이 될지 모르지만, 다음 소설을 기대한다.

 

그 출발점에서부터 이름 없이 살다간 민중들의 기록이었던 소설.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가 민생단 사건으로 죽음을 당한 북간도의 동포들을 재조명했듯이,

이 소설을 통해 뭇사람의 입에서 욕설로 불리던 화냥년의 가슴 아픈 실체가 드러났듯이

힘 없고 가난한 약자들의 삶이 더 많은 소설 속에서 저마다의 의미로 되살아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