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음식이 문화를 만든다고? : 식품학 주니어 대학 11
김석신 지음, 원혜진 그림 / 비룡소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번에도 '주니어 대학' 시리즈의 의학 편을 받아서 읽어 서평도 썼고 이 시리즈의

다른 책들도 읽어봤었는데 이번에는 '식품학'이라는 주제라 더욱

재밌게 읽었다. ​ 요즘 먹방이나 셰프들이 인기가 많아지면서 식품학이나 요리사같은

직업이 인기가 더 많아지고 관심도 더 늘었다고하는데 나는 예전에 요리사가

되고 싶기도 하고 요리를 잘 하지는 못하지만 재밌어한다. 그래서 이 책에 대한 흥미도가

더 높았던 것 같다. 이 시리즈의 특징에 맞게 ​실제 사례들과역사적인 사실들이 함께 소개되어

있어서 딱딱함을 덜어주고 흥미를 느껴주게 한다. 특히 이번 권에서는 통조림을 만든 니콜라 아페르,

통조림이 생기게 된 까닭, 통조림의 놀라운 기술을 소개한 부분이 재밌었다. 통조림이라는 음식이

익숙하지만 누가 발명했고 어떻게 만들었는지는 궁금해하지 않았는데 이번 기회에 새로운

내용을 잘 배웠다. 또 식품학 중식품조리학, 식품 영양학, 식품공학도 잘 설명되어 있었고

매일 진화하는 식품학에 대해 쓰여진 내용도 있었다. 만약 장래희망이나 원하는 전공이 ​식품학이라면

이 책을 꼭 보고 차곡차곡 지식을 쌓고 식품학 중에서도 어떤 전공을 선택할 지도 생각해볼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제목처럼 음식이 세상의 모습을 바꾸고 진화시킨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단지 생존을 위해서 음식을 먹고 식품학을 배우기 보다는 이제는 음식의 중요성과

식문화에 맞게 음식을 먹어야 겠다고 느꼈다. 나도 이 책을 읽은 것이

음식이 얼마나 진화했으며 얼마나 우리 문화와

모습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새로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과학적인 사실과 여러 실제 사연 등과 같이 소개해 식품학을 설명한 ​이 책을 추천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