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 순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과 날씨 좋은 주말이면 나들이 장소를 물색한다. 우리 부부가 가장 좋아하는 조합은

좋은 산이나 숲이 있는 곳에 있는 조용하고 아담한 절집이다.

경기도에 사는지라 가까운 절은 다 가본듯 하다.

 

5월에는 가보고 싶었던 영주 부석사를 다녀왔다. <부석사 배흘림 기둥에 서서>라는

책을 지니고..그러다 우리나라의 산사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는 소식에 엄청 기뻤다.

문화유산이 되면 아마도 좀 더 소중히 보존되고 가꾸어질꺼라 생각이 되기 때문이다.

좋은 소식과 더불어 유홍준 선생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산사순례>편이 출간되었다.

어떻게 알고 딱 맞는 시점에 책을 내었을까 할 정도였는데 이번 책은 새로 쓰신게 아니고

기존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산사만을 모아두어서 산사 답사 할때 지참할 수 있는 안내책으로서

잘 정리되어졌다. 무엇보다 산사라는 제목에 걸맞는 표지 안동봉정사는 정말 초록 세상속에

자리잡은 우리네 절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한다.

늘 절에 가면 어찌 이런 좋은 자리에 절이 자리잡았을까 하게 된다. 옛절의 정취가 느껴지는 곳을

더욱 좋아라하는 하는 것은 작가님과 나의 맘이 일치하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이상하게 절내의 건물이 너무나 장대하거나 무언가 현대적인 느낌이 들면 되리어 어울리지 않는다는 맘이 절로 든다. 모든 다른 것은 새 것을 좋아하는데 참으로 이상하다.

유홍준 선생님의 표현을 빌려오면 절집의 아름다움의 기준에는 절집자체의 아름다움도 있지만

절집이 자연과의 배치가 어떠하냐에 따른다고 하셨다.

많은 절을 가보았다고 생각했지만 역시 보는 눈이 모자랐다.

고창 선운사의 동백꽃은 보았지만 도솔암 석각여래상은 보지 못했다. 역시 아는게 부족했다.

절에 가면 가장 큰 건물에 들어가서 절하고 오는 것 밖에 모르고

부처님의 수인정도만 알고 있으니 절마다의 특색이 뭔지 암자가 어딘지

 부처가 어딨는지 무엇이 아름다운지 모른 탓이다.

그리고 아직 가보지 못한 곳도 이렇게 많다니 내내 순천 선암사와 송광사를 혼자 여행해보야지 하며 계획만 세웠다. 조계종과 천태종만 아는 나에게 태고종의 절이라는 선암사에 가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매화도 보고 뒤깐에서 시원하게 볼일도 보아야겠다. 역시 꽃은 육안으로도 아름다워야 하지만 향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매화를 높이 산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벚꽃은 너무 아름답지만 향기가 없어 가끔은 꽃에게 진실됨을 묻기도 하기 때문이다.

선생님의 답사기를 읽을 때마다 젤로 아쉬운 것은 내가 운전을 못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운전을 잘하는 남편에게 멀리까지 운전해서 절구경 가자하기엔 미안한 맘이 들고

산사는 또 산속에 있어 대중교통으로 쉬이 가지 못하기에 맘만 급하게 된다.

 

땅끝 해남에서 만날 수 있는 대흥사와 미황사도 꼭 가보고 싶은 곳으로 맘속에 저장한다.

그 곳에서 차를 좋아한 추사의 흔적을 만난다면 더욱 반가울테니 말이다.

개심사 속 이야기는 또 얼마나 재밌는지..개심사는 근래 청벚꽃 겹벚꽃으로 아름다운 곳이라

몇해전에 다녀왔다. 산신각으로 가는 길목에서 스님방 문앞에 이제 그만 -> 저리가라는 뜻의

글씨에 한번 웃고 "개심사 좋다고 소문내지 말라며 사람떼가 얼마나 무서운지 아냐는

 주지스님의 말에 또 한번 웃는다. 그런데 사람들은 용케도 좋은 곳은 금방 알아 구름떼처럼

몰려간다. 주지스님은 지금 개심사의 봄이면 어떤 생각을 하실지 가히 궁금하다.

그리고 보령 성주사터 이야기도 인상깊었다. 불교의 국가를 지나온 과거를 기억한다면 

많은 절이 사라졌다고 생각하면 아쉬운 맘도 들고 그 터를 가지고 거꾸로 그 과거를

그려보는 과정들을 만나게 되면 실로 불사의 힘은 대단하구나 하게 된다.

지금의 커다랗고 높은 교회들이 미래에는 이런 절터와 같이 기억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우스운 생각도 해보게 된다. 늘 처럼 내발을 디딛는 여행은 하지 못하지만 늘 해박한 지식으로

공간을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하고 나무를 사랑하고 건축을 사랑하는 유홍준 작가님의

산사순례도 참 좋았다. 남북관계도 좋아진다고 하니 마지막에 소개되어진 2개의 북한의 절도

멀지 않은 미래에 꼭 가볼 수 있기를 소원한다.

 

학교에서 배운 역사적인 지식으로는 연결하기 어려운 절을 중건한 스님들의 이야기나 불교적인

이야기는 빠르게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한가지는 정확하게 인지했다.

우리나라의 산사는 더할 나위없이 아름답다.

그리고 그 곳에서 나는 아는만큼 바라보는 아는 것의 기쁨을 만끽하는 순례를 해야겠다는  

소박한 다짐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이 책에 깊히 감사한다.

 

 

그러나 예술미라는 인공적인 아름다움과 문화미라는 정신적인 가치는 그 나름의 훈련과 지식 없이 쉽게 잡아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사람은 "아는 만큼 느낀다."고 할 수 있다.
114쪽

수덕사 대웅전 건축은 그 구조와 외형이 아주 단순하다. 화려하고 장식이 많아야 눈이 휘둥그레지는 현대인에게 이 단순성이 보여주는 간결한 것의 아름다움, 꼭 필요한 것이외에는 아무런 수식이 가해지지않은 필요미는 얼른 다가오지 않는다. 179쪽

철따라 바뀌는 꽃과 나무는 우리의 정서를 더없이 맑게 표백시켜준다. 그 꽃을 보고도 아름다움을 감지하지 못하는 서정의 여백이 없다면 국보도 보물도 그저 돌덩이, 나뭇조각으로만 보일 것이다. 255쪽

절집이건 서원이건 여염집이건 우리는 관객의 입장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장에서 그 집을 살펴야 그 건축의 본뜻을 알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 점, 남에게 으스대기 위하여 치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에 입각하여 배치할 줄 아는 당연한 슬기를 이 시대 우리는 마땅히 배워야 한다. 3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