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와 나는 한 팀이었다 - 성적의 가속도를 올리는 엄마 아이 팀워크
최성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6월
평점 :

티비를 잘 켜지 않는 저희집에서 유일하게 챙겨보는 두개의 프로그램이 있는데,
주중에는 - 공부가 머니,
주말에는 - 구해줘 홈즈
입니다.
특히나 공부가 머니는 꼭 아이랑 함께 시청하는데요.
8세 본격 교육의 길로 들어선 아이와 함께,
다양한 아이들의 공부모습과 학습태도를 지켜보면서.
우리 미래의 모습들을 점쳐보고는 해요
최근편성분에서는 패널이 확 바뀌어서 너무 아쉬운데요 (좀더 오락에 가까워진 모습...)
오리지널 컨설턴트 분들중에서도 시크한 모습과 조언에
가장 궁금했던_최성현 에듀맘 멘토링 대표님의 책이 나와서
얼른 손들고 읽기 시작했지요.

진로/ 입시 상담소 에듀맘 대표 학부모,
자녀와의 심충 인터뷰를 바탕으로 아이이게 최적화된 학습 컨설팅,
송곳 같은 솔루션을 제공하며 두터운 신망을 얻어온_최성현 대표님의 책.
대치동, 강남 엄마들의 입시 공부 전략을 배우는 책 아냐?!
라는 그렇게까지 공부시키고 싶지는 않아_라며 책소개를 덮는 분들이 있다면.
NoNoNo.
아니요,
이 책은 거대한 교육의 파도 속에서
당장의 입시 준비에 연연하기보다
멀리 보고 큰 그림을 그려주는 부모의 참역할에 대해서 이야기해주는 책. 입니다.
사실 저는, 초등학교 만큼은
공부부담 없이 즐겁고 재미나게...를 모토로.
책 읽고 방과후학습하며, 그렇게 보낼 예정이었어요.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정상적인 학교 생활을 불가능하고
가정에서의 안전 보육과
가정에서의 학습 결손이
모두 엄마의 책임/ 관리하에 들어온 요즘.
교육은 강건너에서 응원하고 박수만 쳐주는 것이 아닌,
엄마가 챙겨주고 집중해야할 "과업"이 되버리고 만것입니다.
(삐끗하면 학습결손이 오고 말것 같은 위기감은, 비단 저만의 것이 아니겠지요)
엄마는 기본적으로 책임감과 동시 죄책감,
불안감을 함께 떠안고 살아간다.
혹여 잘못된 판단으로 아이를 망칠까 봐.
제때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해서 때를 놓칠까 봐.
아이가 원하는 것이나 필요한 것을 다해주지 못할까 봐
지난 8년간 제가 아이에게 느꼈던 두려운 감정이, 바로 이것이었구나.
내가 실수할까봐,
내가 잘못된 판단을 내릴까봐,
내가 아이를 망치게 될까봐_라는 불안감.

범람하는 교육정보에 휘둘리지 않는 부모
x 급변하는 입시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아이
같은 곳을 바라보며 힘께 이기는 '한팀' 전략은 어떻게 해야하는 것일까요?
이른바 압구정에 사는 아이들은 대치동에 비해 공부를 덜시킨다는 말이 있어요.
그들에겐 대를 물려줄 부가 있으니,
굳이 공부에 올인하여 나의 신분을 바꿀정도로 절박할 필요가 기 때문인데요.
그들만큼의 재력은 없으나
그들의 방식을 좇으며 그들과 같은 높이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싶은 이들은
학벌이 곧 부로 이어질 것이라는 믿음으로 교육열을 부추기게 되요.
조금이라도 어릴때 영어를..
조금이라도 어릴때 선행학습을...
사교육 시작 연령을 점점 낮아지고
아이들은 놀이 환경보다 학습 환경에 더 빨리 노출되고 있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너무 힘듭니다.
학력은 더 높아졌는데 취업은 더 어려워졌어요.
불안한 엄마들은 학원가, 학군지로 몰려갑니다.
하지만 이때 잘 생각해야할 건
우리아이에게 맞는 곳인지
우리아이가 들러리를 서주러 가는 건 아닌지_
냉철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죠.
그럼 이런 판단은 어떻게 내릴 수 있는가?
바로 엄마가 아이를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_입니다.
아이의 재능은 학원 선생님이 발견해주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관찰을 통해 엄마의 눈으로 발견하는 것이다
우리 아이가 어떤 성격을 가졌는지,
어떤 기질을 타고 났는지,
일상 속에서 어떤 점이 뛰어나고
또 어떤 일에 어려움을 겪는지.
사회적 관계를 어떻게 맺고 있는지를
관찰하는 엄마의 눈이 필요하다고 해요.
만약 계단을 한 개씩 오르고 놀이 룰을 잘 지키는 아이라면
질서와 체계를 잘 지키고 따르는 성향을 가졌을 것이구요.
이런 아이는 어떤 측면이 뛰어나다고 해서
학습 단계를 건너 띄고 내달려서는 안되는 것_으로 판단하는 것이지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포스텍, 카이스트
다섯개의 명문대에 동시에 합격한 아들을 둔
교육 컨설턴트는 어떻게 아이를 키웠을까?
사교육을 엄청 시켰겠지?
치맛바람이 엄청 났을꺼야?
엄마와 아이 둘다 엄청난 열정을 가졌을까?
최송현 대표님의 경험담도 자세히 만날 수 있답니다.
요약해서 알려드리자면_
엄청나게 극성인 엄마도 없었고
엄청나게 특출난 아이도 없었고
그저 아이 옆에서 묵묵히 아이가 원하는 길을 함께 걸어준,
학부모가 있었어요
(*학부모_공부하고 배우는 부모)
학교와 학원에 맡겨놓고 그냥 알아서 자기 갈 길 찾아가겠거니 할게 아니라.
어떤 길을 가든 아이와 함께 가겠다_고 생각한 엄마.
초등학생 아이에게 '네 미래를 위해 전략적인 사고를 하며
생활기록부에 기록할 것들을 스스로 준비해' 라고 할수 없으니.
어느정도 부모의 리더십을 발휘해줄 수 있는 엄마.
타고난 재능이 있다면 그것을 발전시키고 앞으로 나아가게 해줄 수 있는 엄마.
최근 초등 1학년, 혼돈의 카오스에 빠져있던 제게.
찬물 제대로 끼얹어주고
다시한번 정신차리고 우리아이를 세심하게 쳐다봐줄 수 있게 해준 책.
아이와 나는 한팀이었다_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