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서 찾은 다문화 이야기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13
강미숙 지음, 김석 그림 / 리틀씨앤톡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하는 어린이 사회편

국제결혼이 많아지다보니 우리 주변에 다문화가정이 정말 많아진 것 같아요.

다문화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알아가는 게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나라는 '단일 민족 국가'라는 의식이 강해서...

다른 문화권 사람들에게 받아들이지 않고 배타적인 감정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아서 안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의 이런 태도에 대해 막연히 알고 있었는데 한민족이라는 자부심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생각해보면서

우리 역사 속에 다문화 사회가 존재한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민족'이란 단어의 의미를 사전을 찾아보면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공동생활을 하면서 언어와 문화상의 공통성에 기초해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집단'이라고 소개되어있다고 해요.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다문화 가정 역시 넓은 의미에서 민족이라는 걸 기억해야겠어요.(50p)


조선 시대 최고의 과학자로 장영실을 많은 사람들이 떠올릴텐데... 장영실이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났다는 걸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거예요.

저도 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신분이 낮다고만 알았는데 자격루, 앙부일구, 간의 등의 뛰어난 발명품을 만들어서...

그 부모님들이 어떤 분일까 궁금했던 적은 있어요.

장영실의 아버지는 원나라 소수, 항주 사람이고, 어머니는 기생이었다고 해요.

이런 내용이 <세종실록>에 기록되어 있어요.

학교 다닐 때 이런 내용을 배운 적이 없는데... 요즘 수업시간에 아이들이 어떻게 배우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많은 아이들과 부모님들이 함께 이런 내용을 알게 된다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오해나 편견이 줄어들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김수로왕이 아유타 왕국의 공주인 슈리라트나인 허황옥 왕비와 결혼했다는 사실이 신기했어요.

이웃 나라를 오가는 것도 쉽지 않은 시대에 뱃길로 2만 5000리(약 1만km)나 떨어진 인도의 작은 나라 공주가 찾아와서 왕과 결혼하고 아들에게 왕비의 성인 '김해 허 씨'를 물려주기도 했어요.

이주 여성, 다문화 가정, 외국인 노동자, 난민, 이민자, 유학생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 가정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겪는 문제와 지금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등에 관해 알아볼 수 있었어요.

여러 기관을 통해 함께 하려는 노력들이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어요.

아이들이 읽기에도 좋은데 부모님들과 어르신들도 함께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모든 연령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