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 혁명 - 맛은 즐기고 칼로리는 낮추는 비밀
레이첼 허즈 지음, 장혜인 옮김 / 인라우드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포스팅은 인라우드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어제도 너무 피곤해서 저녁을 먹고 일찍 잠들었다가 새벽 1~2시경에 깼다. 그러다 보니 배가 고파서 야식 겸 냉장고에 이것저것 꺼내 먹고 커피도 곁들여 먹었다. 나이가 들수록 밤에는 되도록 잠자기 전에 먹지 말고 잠은 충분히 자라고 했는데, 거꾸로 살고 있는 셈이다. 거기다 운동을 해야 뱃살을 빼는데 살만 찌우고 있다.


아토피, 당뇨 등 현대인들에게 많이 생기는 질병들 중에는 먹는 음식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배달음식이 급성장하면서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음식을 공급받게 되면서 먹는 충동, 식욕을 끊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배가 고파서 충동적으로 음식을 많이 시킨 적이 있고, 배가 고파도 참고 자야 하는데 기어코 배불리 먹고 나서야 포만감에 잠들었다.


세계적인 인지 신경과학자인 레이첼 허즈(Rachel Herz)는 '먹고 싶다'는 생각이 멈추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우리는 왜 식욕 욕구를 잘 조절하지 못하는지에 대해 연구해 왔다. 그녀는 우리가 특정 음식에 끌리는 이유는 단순히 ‘맛’ 때문이 아니라 감정, 기억, 습관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며, <식욕 혁명: 맛은 즐기고 칼로리는 낮추는 비밀>에서 식욕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했다.


p.41

건강에 좋은 녹색 채소와 적색 채소는 대체로 쓴맛이 난다. 초미각자는 보통 이러한 채소를 피한다. 그런데 이러한 채소 대부분에는 암을 예방하는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물질이 듬뿍 들어 있다. 코네티컷대학교 보건과학자인 발레리 더피는 수의학병원 동료들과 함께 진행한 연구에서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남성 노인 중 초미각자에게는 대장암의 전조인 용종이 많이 생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나는 매일 식욕 앞에 무릎 꿇고 있다. 오늘 점심에도 큰 그릇에 듬뿍 담아 주는 굴짬뽕을 맛나게 먹었다. 업무를 하는 중간중간 간식으로 과자를 먹고 커피도 서너 잔을 마셨다. 그럼에도 퇴근 시간이 가까워 오면 또 배가 고프다.


성장기도 지났는데 왜 이리 배가 고플까. 혹시 몸에 이상한 생명체가 자라고 있는 것을 아닐까? 배가 고프다는 식욕을 느낄 때 먹는 음식은 진짜 몸이 원하는 맛과 영양분을 채워 주는 것일까? 아니면 그저 배고픔을 이기지 못해 선택해서 먹는 것일까?


매콤 달콤한 떡볶이, 치즈가 듬뿍 늘어나는 피자, 뜨거운 국물이 끝내 주는 순댓국, 입안에서 사르르 녹는 멜론맛 나는 아이스크림 등.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음식들의 유혹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칼로리 과잉 시대인 요즘, 우리의 식욕은 조절될 수 있을까? 우리가 진짜로 먹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


p.149

중국에는 '먼저 눈으로 먹고, 그다음 코로 먹고, 마지막에 입으로 먹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그릴드 치즈 샌드위치의 황금빛으로 바삭하게 구워진 빵과 녹아내리는 치즈는 보기만 해도 침이 고이고 소화에 필요한 펩타이드가 분비된다. 황홀하게 흘러내리는 치즈를 보는 순간 인슐린 수치가 치솟고 몸에서는 샌드위치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저자는 우리가 단짠 음식에 빠지는 이유에 대해 단짠 조합이 주는 쾌락은 단순한 입맛의 취향이 아니라, 뇌의 보상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고 말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생존을 위해 고칼로리 음식을 선호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설탕과 지방이 가득한 음식에 쉽게 중독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무작정 참기보다는 건강한 대안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저자는 또 저탄, 저지방, 유기농만이 해답이 아니라며, 단순히 ‘건강한 음식’이라고 해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음식과 맺는 관계를 바꾸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식욕 혁명: 맛은 즐기고 칼로리는 낮추는 비밀>은 단순한 다이어트 서적이 아니라, 식습관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과학적 접근법을 제공한다. '먹는 것은 감정의 문제다'라는 관점을 통해 우리는 음식과 건강한 관계를 맺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 출처 : 박기자의 책에 끌리다, 책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