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 메이커 - 다 주고 더 받는
임춘성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낵포, 이큐브랩, 마이로, 고피자, 마드라스체크, 클래스101, 무신사, 제페토, 카카오모빌리티, 오늘의집, 당근마켓, 클로버추얼패션, 플랜즈커피... 이들 업체에 대해 알고 계신가? 이미 사용 중인 앱을 통해 알고 있는 업체명도 있을 것이고, 처음 보는 낯선 이름도 있을 것이다.


어찌 됐든 이들 업체의 공통점은 요즘 국내에서 잘나가는 스타 스타트업이라는 점이다. 또한 '다주더받'이라는 신조어로 대신할 수 있다. IT 업계에서도 신조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건 또 무슨 말인가? 여기서 말하는 '다주더받'이란, '고객에게 다 주고 세상에서 더 받는 비즈니스를 가리키는 말이다.


p.49

스푼라디오의 최혁재 대표는 말합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라디오는 엄마 아빠가 운전하면서 듣는 신비로울 정도로 고리타분한 매체죠. 스푼라디오는 젊은 세대가 주인공이 될 수 있는, 맘껏 뛰어놀 수 있는 편안하고 새로운 라디오 플랫폼입니다."


p.77

회사명은 쿠콘입니다. 무슨 의미인고 하니, 3개의 C 'Collect', 'Connect', 'Control'의 합성어랍니다. 딱 감이 오죠? 은행, 카드사, 증권사 등 500개 기관의 5만여 개 정보를 수집하여 금융기관, 핀테크회사, 일반기업과 공공기관에게 연결해 줍니다. 많은 수의 기관 정보를 모아 또 다른 많은 수의 기관에게 제공하는 진정한 데이터 비즈니스의 전형이죠.



최근 출간된 <룰 메이커>는 앞서 이야기했던 몇몇 국내 스타트업들이 전통적인 기업이 추구해 왔던 매출과 이익 추구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성공 법칙을 쓰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책의 저자인 연세대 산업공학과 임춘성 교수는 이들 기업들이 어떻게 새로운 미래와 가치를 모도하고 있는지 33개의 인사이트를 통해 독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저자는 기존 기업들이 추구해온 원칙과 철칙에는 3가지 오류가 있다고 설명했다. 첫째는 상대는 바보가 아니라는 점이고, 둘째는 상대의 시야에는 나만 있지 않고, 셋째는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늘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꼬집었다.


p.118

클래스101은 온라인으로 원하는 강좌를 수강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만, 일방적으로 개설된 강좌를 수강하는 흔한 교육 사이트가 아닙니다. 크리에이터라 부르는 강의 콘텐츠 창작자와 강의 콘텐츠 수강자를 연결해 주는 매칭 비즈니스로, 양면시장을 구가하고 있습니다. 전문강사가 아니더라도 일반인이 크리에이터가 되어 각자 자신 있는 분야의 강좌 개설을 신청합니다.


p.157

쿠팡이츠는 쿠팡의 음식배달서비스로서, '한 집에 한 배달'을 표방합니다. 한 번에 2~4개의 음식을 배달하는 기존의 배달 서비스와는 달리 따뜻하고 신선한 음식을 더 빨리 받을 수 있으니 고객의 입자에서는 단연코 선호할 수밖에 없는 방식입니다. 물론 근자에는 이러한 단건 배달보다 배달비를 할인해 주는 옵션도 제공하고 있지만요.




이 책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즈니스는 '고객에게 다 주고 세상에서 더 받는'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로 플랫폼 비즈니스, 모바일 비즈니스, 인터넷 비즈니스 등을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신진 스타트업들의 성공 전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업체가 주력으로 하고 있는 비즈니스 시장은 기존 업체들이 신경 쓰지 않았던(아니 못했던) 것으로, 귀차니즘에 빠진 고객들을 위해 대신해 주고, 진다 보여주고, 좋은 건 다 찾아주고, 다 알려주고, 다 들어주는 새로운 룰 메이커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 창업자라면 꼭 챙겨 봐야 할 책이다.



이 포스팅은 쌤앤파커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 출처 : 박기자의 책에 끌리다, 책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