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 - GPT-4로 급변하는 미래 산업 트렌드 전망
서민준 외 지음 / 동아엠앤비 / 2023년 4월
평점 :

올해 IT 업계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를 꼽는다면 단연 챗GPT일 것이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예상될 정도로 많은 파장을 불러오고 있는데, 챗GPT 등장으로 우리 사회는 어떤 변화를 겪을 것인지 궁금하다.
이번에 새로 나온 <챗GPT, 기회인가 위기인가>에서는 언어모델 인공지능의 역사 및 구조를 비롯해 챗GPT 비즈니스 임팩트로 인한 재화와 산업의 흐름 변화를 분석해 소개하고 있다. 챗GPT로 촉발된 열풍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또한 한계는 무엇이고 어떤 과제를 남겼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에는 최신판인 GPT-4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물론 향후 우리가 대처해야 할 기술적, 윤리적, 법적 이슈까지 챗GPT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도 담았다. 무엇보다 이 책에서는 단순한 챗GPT에 관한 정보들을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챗GPT 등장으로 인해 뜨는 산업, 새롭게 탄생할 직업 등에 대해서도 짚고 있다.

사용자가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해 답을 주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챗GPT는 단순히 질문에 답변하는 것은 물론 번역도 하고 시나 소설 쓰기, 논문 작성, 노래 작사 및 작곡, 코딩 작업 등 광범위한 분야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고 있던 인공지능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으로 다가왔다.
챗GPT는 막대한 양의 텍스트를 사전학습한 인공지능으로 이를 기반으로 자연어, 즉 사람의 일상적인 말을 이해하고 대화를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챗봇인 셈이다. 챗GPT와 직접 대화를 나누고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의 일상은 또 한 번 큰 변혁을 맞이할 것이다. 나온 지 몇 달 지나지도 않았는데 이미 국민 3명 중 1명이 챗GPT를 직접 접하고 다루었다는 통계를 보면 새로운 혁신을 가져올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3D 프린팅이나 메타버스, NFT, 가상화폐 등 이미 인공지능(AI)에 버금가는 다양한 키워드들이 큰 화제를 모았다가 어느새 사그라들었던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챗GPT 열풍은 쉽게 저물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어떤 질문을 할 것이냐에 달려 있다는 말들고 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챗GPT의 이슈로 인해 벌어진 상황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IT 전문가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축적한 노하우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좀 더 정확한 챗GPT 관련 정보와 이슈를 짚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023년 3월 14일(미국 현지시각) GPT의 다음 버전인 GPT-4가 전격 공개됐다. GPT-4는 기존 GPT-3.5와 달리 텍스트와 이미지를 입력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멀티 모달' 모델이란 점이 특징이다. 즉 이미지를 넣어 질문해도 답변을 내놓을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생성형 인공지능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잘못된 정보의 생산이나 지식재산권의 침해, 개인정보 문제 등도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초기 한두 달의 열풍이 지나면서 챗GPT의 한계와 오류에 대한 논의들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어찌 됐든 챗GPT는 우리의 일자리를 위협할 만큼 커다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과장해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다만 우리는 이제 챗GPT를 좀 더 정확하게 알고 새로운 시장이 어떻게 펼쳐질 것인지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그 길목에서 가이드가 되어줄 것이다.
이 포스팅은 동아엠앤비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 출처 : 박기자의 책에 끌리다, 책끌